항목 ID | GC60004717 |
---|---|
한자 | 明谷遺稿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백지민 |
편찬 시기/일시 | 1902년 - 『명곡유고』 편찬 |
---|---|
간행 시기/일시 | 1902년![]() |
소장처 |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
소장처 | 고려대학교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안암동 5가 1-2] |
소장처 |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연희동 25] |
소장처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광주광역시 북구 독립로 367번길 5[중흥동 645-14]![]() |
성격 | 시문집 |
저자 | 오희도 |
편자 | 오준선 |
간행자 | 오준선 |
권책 | 2권 1책 |
행자 | 10행 20자 |
규격 | 23.0 x 15.2㎝[반곽(半郭)] |
어미 | 상삼엽화문어미(上三葉花紋魚尾) |
조선 후기 문신 오희도(吳希道)[1584~1624]의 문집.
조선 후기 문신 오희도의 글과 기록을 9대손 오준선(吳駿善)이 편집, 간행한 문집이다.
오희도의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득원(得原), 호는 명곡(明谷)이다. 1602년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623년 알성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의 관원으로 추천을 받아 들어갔다. 기주관을 대신하여 어전에서 사실을 기록하는 데 민첩하여 검열에 임명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천연두에 걸려 사망하였다. 오희도의 나이 41세의 일이었다.
오희도는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형제와 함께 살면서 독서로 서로 권하고 격려하며 가정이 화목하였다. 금성(錦城)의 옛 고향 대명곡(大明谷)에 거처하면서 호를 명곡이라고 지어 불렀다. 만년에는 뒷산 기슭에 집을 지어 망재(忘齋)라 부르며 속물스러운 뜻을 버리고 기질을 순수하게 하는 데 힘썼다.
『명곡유고』는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활자본이다. 반곽(半郭)은 23.0 x 15.2㎝이고, 10행 20자이며, 상3엽화문어미(上3葉花紋魚尾)이다.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호남지방문헌연구소[광주광역시 소재] 등에 소장되어 있다.
『명곡유고』 권 1에 시·사(詞), 권2에 잠(箴)·소(疏)·기(記)·서(序)·설(說)·제문(祭文)·책문(策問) 등이 있으며, 부록으로 묘갈명·비음기(碑陰記)·묘지명·유적·제문·도장사축문(道藏祠祝文)·도장사우상량문(道藏祠宇上樑文)·망재기(忘齋記)·제현창수(諸賢唱酬)·만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
『명곡유고』는 전라남도 담양 지역에서 활동한 오희도의 학문과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