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4703 |
---|---|
한자 | 黙隱遺稿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세인 |
조선 후기 전라도 광주 지역에서 출생한 문인 이정신(李鼎新)의 시문집.
『묵은유고(黙隱遺稿)』는 17세기 전라도 광주 지역에서 활동하며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켜 활동한 문인 이정신의 행적과 시문을 엮은 문집이다.
이정신의 자는 섭지(燮之), 호는 묵은(黙隱), 본관은 영천(永川)이다. 1593년(선조 26) 광주 대점(大岾)[현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에서 부친 이영선(李榮先)과 모친 광산김씨(光山金氏)의 아들로 태어났다. 1617년(광해군 9)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하는 등 광해군이 폭정을 시작하자 과거에 뜻을 버리고 광주 평장동(平章洞)[현 담양군 대전면 평장동]에 은거하였다.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육촌 아우인 야은(野隱) 이정태(李鼎泰)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으나, 중국 청(淸)나라와 화의가 이루어져 뜻을 이루지 못하고 낙담하여 통곡하며 고향으로 돌아왔다. 담양 대치사(大峙祠)에 형 이정실(李鼎實), 이정태 등과 함께 배향되어 있다. 문집에 행장이 없어서 사망한 해는 정확히 알 수 없다.
1907년 이정신의 9세손 이철수(李澈秀)가 가장(家藏) 유고를 수습하여 2권 1책으로 편집·간행하였다
저본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으로, 목활자본(木活字本)이다. 판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으로 반곽(半郭) 22.5×15.7㎝이며 계선이 있다. 반곽의 행자수는 10행 20자이고, 어미는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이다. 표제·권수제(卷首題)·판심제(版心題) 모두 ‘묵은유고’이다.
전체 2권 1책 중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이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는 문집 간행을 주도한 이철수의 발문을 싣고 있다. 권1에 시(詩) 129수가 실려 있다. 이어 권2에 서(書)·기(記)·문(文) 각 1편, 잡저(雜著) 5편, 부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권2 잡저에 실린 「갑자역괄시모의사실략(甲子逆适時募義事實略)」은 이괄(李适)의 난에 대해 쓴 글이다. 1624년(인조 2) 1월 14일부터 같은 해 2월 10일까지 40일 동안 난의 발생 과정과 전개 상황 등을 상세히 적고 있다. 그리고 「병자창의시사실략(丙子倡義時事實略)」은 병자호란에 참여한 전말을 요약해 놓은 것인데, 인조(仁祖)가 내린 교서와 호남 인사들의 격문을 함께 수록하고 있다.
『묵은유고』에 수록된 이괄의 난과 병자호란에 대한 글은 국란 시에 지방민의 대응 과정을 탐색할 수 있는 자료로서 지방사 연구에 중요한 문헌이다. 또한 문집에 수록된 시문을 통해 이정신의 문학 세계를 연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