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4650 |
---|---|
한자 | -虎狼-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서해숙 |
채록 시기/일시 | 2018년 - 「이빨 빠진 개호랑이」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주민 김응자에게 채록 |
---|---|
채록지 | 화산마을 -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 |
가창권역 | 광주광역시 |
성격 | 유희요 |
기능 구분 | 유희요|노동요 |
형식 구분 | 독창 |
가창자/시연자 | 김응자 |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화산마을을 비롯하여 광주 지역에서 부른 유희요.
「이빨 빠진 개호랑이」는 2018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증보한국구비문학대계' 사업의 일환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화산마을 김응자[1940년생]에게 채록한 노래이다.
「이빨 빠진 개호랑이」는 노래는 독창으로 불리며, 사설은 3음절로 구성되어 있다.
「이빨 빠진 개호랑이」의 사설은 다음과 같다.
이빨빠진 개호랭이/ 개랑가[개울] 앞에 가지 마라/ 붕어한테 뺨 맞고/ 새비[새우]한테 침 맞는다
「이빨 빠진 개호랑이」는 호랑이의 형상과 상황을 희화한 노래로, 아이들이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혹은 부녀자들이 노동의 힘겨움을 덜기 위해 불렀던 노래이다.
「이빨 빠진 개호랑이」는 호랑이를 위협적인 동물로 인식하지 않고 이빨 빠진 모습이나 붕어나 새우에게 당하는 모습으로 형상화하여 웃음을 자아내는 노래로, 구술자들의 문학적 감수성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