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4570 |
---|---|
한자 | 盜賊-漆石洞堂山-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칠석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염승연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89 - 「도적을 잡은 칠석동 당산나무」 광주광역시 칠석마을에 거주하는 이인식의 이야기를 채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90년 - 「도적을 잡은 칠석동 당산나무」 『광주의 전설』에 수록 |
관련 지명 | 칠석마을 -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동 120
![]() |
채록지 | 칠석마을 -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동 120
![]() |
성격 | 설화|전설|영험담 |
주요 등장 인물 | 당산나무|도적 |
모티프 유형 | 영험성 |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당산나무에 관한 이야기.
「도적을 잡은 칠석동 당산나무」는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마을에 있는 당산나무와 그 나무를 지나다가 봉변을 당한 도적에 관한 이야기이다.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마을에서 이인식의 이야기를 채록하였고, 1990년 광주직할시에서 간행한 『광주의 전설』에 수록하였다.
옷돌[칠석]마을은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소가 쪼그리고 앉아 있는 와우상(臥牛相) 형상이어서 터가 거세다고 한다. 때문에 마을 사람들은 그 터의 거센 기운을 누르기 위해서 매년 정월에 당산제를 하고, 마당밟이 굿을 치며 고싸움 놀이를 했다. 칠석마을의 당산제는 마을 위 할아버지당인 소나무와 마을 앞 할머니당인 은행나무에서 지냈다. 할아버지당은 술도 안 마시고 비린 것도 먹지 않아 무나물과 미역국, 냉수로만 제사를 지냈다. 반면에 할머니당은 술과 고기를 다 잘 먹어서 푸짐하게 장만하여 정성껏 지냈다. 지금도 마을 사람들은 당산제를 정성껏 지내고 있다.
어느 해의 당산제에서는 세 사람이 색깔 있는 잉크를 가져와 주변에 뿌렸다고 한다. 그때 붉은 잉크를 뿌린 사람은 집에 불이 나서 망하고, 파란 잉크를 뿌린 사람은 목수가 사용하는 옥자귀에 찍혀 불구가 되었으며, 또 다른 사람은 아버지가 정신이상자가 되었다고 한다. 또한, 아이들 셋이 당산나무에 올라가 똥을 싸다가 가지가 부러져 두 명이 죽고, 한 명이 상처를 입기도 했다. 옛날에는 마을에서 도적질을 하고 당산나무 앞을 지나가던 도적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날이 밝을 때까지 당산나무에게 붙잡혀 있었다는 전설도 있다.
「도적을 잡은 칠석동 당산나무」의 주요 모티프는 '당산나무의 영험성'이다. 칠석마을은 죽령산(竹嶺山) 아래의 평야지대에 있다. 그러나 풍수지리에 따르면 소가 누워 있는 형국으로 그 터의 기운이 드셌기 때문에 이 소를 잡아두기 위해 은행나무를 심었다는 설이 있다. 마을 사람들은 당산나무인 은행나무에 정월 대보름마다 제를 지냈다. 마을 최대 행사인 고싸움놀이를 하기 전에도 고를 들고 당산나무 둘레를 도는 등 마을 사람들은 당산나무를 신성하게 여긴다.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사람들이 화를 당하는 모습을 통해 마을 사람들은 당산나무의 영험성을 믿고 당산나무에 대한 경외심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