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3704 |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아름 |
창작|발표 시기/일시 | 2016년![]() |
---|---|
초연|시연장 | 민들레소극장 -
광주광역시 동구 동계천로 111[동명동 200-12]![]() |
제작 단체 | 토박이 -
광주광역시 동구 동계천로 111[동명동 200-12]![]() |
성격 | 5월 연극 |
작가(원작자) | 박정운 |
감독(연출자) | 박정운 |
출연자 | 송은정|박정운|강중원|임해정|김수현|임성재 |
주요 등장 인물 | 오금남|석은장|조미료|심심해|다너|안무거 |
공연(상영) 시간 | 60분 |
1980년 5월 전라남도 광주 사람들이 함께 만들고 함께 나누어 먹었던 주먹밥에 담긴 이야기를 연극으로 풀어낸 작품.
「오! 금남식당」은 금남관 주인인 오금남이 식당을 물려줄 새 주인을 뽑기 위한 요리 경연 과정을 담고 있다. 1980년 5월 전라남도 광주 사람들이 나누어 먹었던 주먹밥을 소재로 하여 5.18민주화운동 당시의 공동체 정신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2016년 극단 토박이가 민들레소극장에서 초연을 하였고, 이후 2020년까지 약 170여 회에 걸쳐 공연되었다. 원작 및 연출은 박정운이다.
「오! 금남식당」은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를 포함하여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롤로그는 요리 경연 대회의 시작을 알린다. 1장~3장은 금남관의 주인 오금남이 준 세 번의 미션 진행 과정이다. 4장에서는 오금남과 1980년 5월 전라남도 광주사람들의 사연을 풀어낸다. 에필로그에서는 오금남의 내준 마지막 미션의 의미를 이해한 금남관의 새 주인이 뽑히며 요리 경연 대회가 마무리된다.
금남관 주인인 오금남은 식당의 새 주인을 뽑기 위하여 요리 경연 대회를 연다. 석은장과 심심해는 요리 경연 대회 참가자이다. 금남관의 주인이 되기 위해서는 세 번의 미션을 통과해야 한다. 첫 번째 미션은 김치를 만드는 것이고, 두 번째 미션은 김치 재료로 나만의 요리를 만드는 것이다. 마지막 세 번째 미션은 주먹밥을 만드는 것이다. 경연자들은 주먹밥이라는 마지막 미션에 의아해한다. 오금남은 의아해하는 경연자들에게 주먹밥에 얽혀 있는 금남관과 자신의 삶에 대해서 이야기해 준다.
「오! 금남식당」은 노래, 춤, 난타 등의 퍼포먼스를 통하여 1980년 5월 전라남도 광주 시민들이 나누었던 주먹밥에 담긴 공동체 정신과 나눔의 의미를 잘 표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