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3436 |
---|---|
한자 | 光州自由美術人協議會 |
이칭/별칭 | 광자협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은라 |
설립 시기/일시 | 1979년 8월![]() |
---|---|
해체 시기/일시 | 1985년![]() |
최초 설립지 | 광주자유미술인협의회 - 광주광역시 |
성격 | 문화예술 단체 |
설립자 | 홍성담, 최열, 김산하, 강대규, 이영채 등 |
1979년 광주광역시에 설립되었던 민중 미술 단체.
광주자유미술인협의회는 민주주의와 민족주의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던 가운데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미술의 현실 참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9년 창립선언문 ‘제1선언-미술의 건강성 회복을 위해서’에 “작가란 모순과 비리에 찬 상황에 접근하는 발견자이기에 증언과 발언의 힘을 가져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1979년 9월 홍성담, 최열, 김산하, 강대규, 이영채 등 8인을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조선대학교 미대 출신이었고, 광주자유미술인협의회는 가장 빨리 결성된 민중미술 운동단체 중 하나였다. 격렬한 표현적 기법 또는 사실적이면서도 다소 변형된 양식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1985년 12월 광주민중문화운동협의회(광문협)가 창립되었고, 광주자유미술인협의회는 광문협의 미술분과에 소속되면서 시각매체연구회로 재개편되었다.
광주자유미술인협의회는 미술 환경의 구조적 모순과 시대 상황에 맞서기 위해 ‘사회적 개인’으로서의 미술가를 선언함으로써 대중과 사회현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노동자와 농민들을 대상으로 야학이나 토론학습을 지속했고, 5.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에는 현수막과 차량, 건물 외벽 등을 이용하여 선전 활동을 진행하였다. 1980년 7월 20일 광주민주화운동이 끝난 후 창립전이자 제 1회 〈야외작품전〉을 열었고, 1983년 3월 미술 교육기관인 ‘시민미술학교’를 개설하였다. 소수의 계층이 미술을 독점하는 폐쇄성을 극복하고자 했으며, 민주화운동, 통일운동 등 정치적 투쟁 현장에서 사회적·실천적 행동을 수행해나갔다. 미술의 사회참여를 실현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1985년 광주민중문화운동협의회의 미술분과에 소속되면서 ‘시각매체연구회’로 재개편되었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민중미술운동을 활발히 전개하며 한국화단에 큰 영향을 끼쳤다. 광주자유미술인협의회가 1983년부터 1986년까지 운영한 시민미술학교는 목판화를 매개체로 한 미술교육을 실천함으로써 판화의 대중화를 이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