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3333 |
---|---|
한자 | 天道敎光州敎區 |
영어공식명칭 | Cheondogyo Gwangparish |
분야 | 종교/신종교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북구 각화대로 33[각화동 47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송명철 |
설립 시기/일시 | 1941년![]() |
---|---|
이전 시기/일시 | 1955년 - 천도교 광주교구 광주광역시 서구 양동에서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으로 이전 |
이전 시기/일시 | 1957년 - 천도교 광주교구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에서 광주광역시 남구 방림동으로 이전 |
이전 시기/일시 | 1986년 - 천도교 광주교구 광주광역시 남구 방림동에서 광주광역시 동구 불로동으로 이전 |
이전 시기/일시 | 1986년 - 천도교 광주교구 광주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동으로 이전 |
이전 시기/일시 | 1986년 - 천도교 광주교구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동에서 광주광역시 북구 유동으로 이전 |
이전 시기/일시 | 1986년 - 천도교 광주교구 광주광역시 북구 유동에서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동으로 이전 |
이전 시기/일시 | 2019년 - 천도교 광주교구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동에서 광주광역시 북구 각화동으로 이전 |
최초 설립지 | 천도교 광주교구 -
광주광역시 서구 양동
![]() |
현 소재지 | 천도교 광주교구 -
광주광역시 북구 각화대로 33[각화동 471]![]() |
성격 | 종교단체 |
설립자 | 김종현 |
전화 | 062-525-1391 |
광주광역시 북구 각화동에 있는 천도교 소속 교구.
천도교는 본래 사람이 곧 하늘과 같은 신성한 존재이며, 하늘과 자연 및 사람이 본래 다른 존재가 아님을 깨닫고, 모두가 어울리는 우주공동체적 삶을 지향하는 종교다.
광주 지역민에게 모든 사람은 한울님을 모시고 있으므로 근원적으로 평등하다는 수운 최재우의 '인내천(人乃天)'과 '시천주(侍天主)'의 가르침을 교육하고 실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천도교 광주교구는 1941년 광주광역시 서구 양동에 위치한 제사공장에 근무하던 김종현(1대 도정)과 뜻을 같이한 교인들이 설립하였다. 이후 1955년 양경묵 도정 때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으로 옮겼고, 1957년 이시복 도정 때 광주광역시 남구 방림동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1986년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동, 북구 유동, 북구 중흥동 등의 지역으로 이전하였고, 2019년 광주광역시 북구 각화동에 자리잡았다.
천도교 광주교구는 매주 일요일 오전 11시에 정기적인 시일(侍日) 의식을 진행하고 있으며, 광주 지역민에게 '한울님'을 모시고 있는 사람이 곧 신성한 존재임을 자각하게 하는 교육, 존재하는 모든 것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교육과 봉사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2021년 기준 광주광역시 북구 각화동의 금호타운아파트 상가에 약 20여평의 집회실이 있다. 2015년 통계청자료에 의하면 광주광역시 전체 천도교인은 1,971명이었으나 2021년 기준, 교세가 약화되어 약 150여명의 교인이 등록되어 있다. 도정 1명, 교무부장 1명, 교화부장 1명, 경리 1명 등이 주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하늘과 땅 그리고 사람이 동등한 존재이며 조화를 이루는 공동체임을 가르치고 실천하는 종교기관이라는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