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3058 |
---|---|
한자 | 光州南區中毒管理統合支援-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남구 독립로 25-1[백운동 639-2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소영 |
설립 시기/일시 | 2012년 5월 22일![]() |
---|---|
최초 설립지 | 광주남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 광주광역시 남구 독립로 25-1[백운동 639-20] |
현 소재지 | 광주남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
광주광역시 남구 독립로 25-1[백운동 639-20]![]() |
성격 | 복지 기관 |
전화 | 062-413-1195 |
홈페이지 | 광주남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http://www.namguacc.or.kr) |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에 있는 정신 건강 지원 기관.
광주남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광주광역시 남구에 거주하는 지역민의 4대 중독[알코올, 마약, 도박, 인터넷 중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설립된 보건복지부 지정 복지 기관이다.
광주광역시 남구에 거주하는 지역민의 알코올, 마약, 도박, 인터넷의 4대 중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지역사회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고, 지역민이 보다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중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광주남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2012년 5월 22일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에 설립되었다.
광주남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국가 4대 중독사업의 일환인 알코올, 마약, 도박, 인터넷 중독을 총체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통합 중독 관리 체계 활성화, 중독 예방 인식 증진 및 환경 개선, 고위험군 조기 선별 및 단기 치료, 중독 대상자 및 가족의 삶의 질 향상 및 사회적 기능 회복 등을 주요 사업으로 펼치고 있다.
통합 중독 관리 체계 활성화 사업은 중독 관리 사업 모형 및 성과 도출, 인적자원 관리 및 교육을 통한 전문성 향상, 중독 사업 효과성 연구를 주요 사업 과제로 수행하고 있다. 중독 예방 인식 증진 및 환경 개선 사업은 생애주기별 중독 예방 교육과 홍보 및 캠페인 활동이다. 고위험군 조기 선별 및 단기 치료 사업은 SBIRT[중독 문제에 대한 선별(Screening), 단기 개입(Brief Intervention), 의뢰(Referral), 치료(Treatment)의 과정]를 이용한 조기 선별 및 개입, 중독 문제 동반 자살 및 위기 대상자 관리, 정신 건강 문제 조기 발견 및 개입 강화[마음 건강 주치의]를 수행하고 있다. 중독 대상자 및 가족의 삶의 질 향상 및 사회적 기능 회복 사업은 사례관리를 통한 회복 증진, 직업 프로그램 활성화, 범법 중독자 교육, 상담 및 법무 연계 시스템을 운영, 관리하는 사업이다.
광주남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직접 대면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전화 상담과 카카오톡 비대면 상담을 시행하고 있다. 다양한 환경의 각 계층이 손쉽게 상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러한 수단이 강구되었으며, 센터 홈페이지에서 알코올, 도박, 마약, 인터넷 중독의 자가 진단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광주남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광주광역시 남구를 관할하는 보건복지부 산하의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서, 조직은 자문운영위원회와 인사위원회 2개 위원회가 있으며, 정신과 전문의인 센터장 관할 아래 중독관리팀과 예방지원팀의 2개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독관리팀은 주간 재활 프로그램, 퇴원 전 재원 환자 교육, 고위험군 성인 교육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예방관리팀은 중독 예방 교육, 캠페인, 홍보의 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