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2709 |
---|---|
한자 | 良瓜洞六六詩契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인서 |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에 있었던 협동 단체.
양과동 육육시계(良瓜洞 六六詩契)는 시(詩)나 문장(文章)을 지어 서로 즐기는 것을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양과동 육육시계는 남애(南涯) 고유상(高維相)의 주도로 이장·양과리에 거주하는 노년층 36명이 모여 시작하였다. 일제강점기인 1943년에 민족적 울분을 글로 삭혀 보고자 모였으며, 수백 년 동안 지속된 양과동계의 시문에 관심 있는 일부 계원들이 모여 만든 파생 조직 또는 별도의 부가 조직이었다. 육육시계는 1960년대 말 계원들의 고령화로 소멸되었다.
계원의 자격은 이장·양과리 거주 노인으로서 특별한 자격 제한은 없었다. 다만, 최소 압운(押韻)에 맞춰 한시(漢詩) 한 수를 지어내 읊을 수 있어야 한다.
창계(創契) 시 계원은 36명이었고, 17명이 추가 입계하였다. 계원의 추가 입계는 총회의 인준과 입계금 납부로 이루어지고, 3회 이상 불참하거나 거주지 변동 시에는 탈계시키며 계금은 반환되지 않는다.
양과동 육육시계의 정기 총회는 매년 한 차례 개최되었으며, 시강회(詩講會)는 음력 4월[정기 총회와 병행]과 9월에 실시하였다. 행사의 구체적인 날짜는 직전 모임에서 계원들의 의견을 모아 정하였다.
각 계원들은 총회에서 안건 토의를 한 후 압운에 맞춰 시문을 지었다. 지어진 시문은 한 곳에 수합하여 합평(合評) 및 토론을 벌였고, 잘 지어진 글은 여러 계원들 앞에서 가락을 넣어 읊기도 하였다.
상조 기능은 계원 사망 시에 전 계원이 반드시 참례(參禮)해야 하고 개인적으로 부조(扶助)를 하였다. 계에서는 최대의 애도를 표하는 치제문(致祭文)을 지었다.
양과동 육육시계는 선조들의 정신적 여유 속에서 멋과 풍류를 즐겼던 시계(詩契)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