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2191 |
---|---|
한자 | 朴京柱 |
이칭/별칭 | Bak Gyeongju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효선 |
출생 시기/일시 | 1896년 5월 13일![]() |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3월 10일 - 박경주 광주 3.1운동 참가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3월 17~18일 - 박경주 「독립선언서」, 경고문, 「독립가」를 등사하여 전라남도 목포 등 인근 지역에 배포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9월 15일 - 박경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2년형 선고 |
몰년 시기/일시 | 1938년 10월 5일![]() |
추모 시기/일시 | 1977년![]() |
추모 시기/일시 | 1990년![]() |
출생지 | 전라도 나주부 광주군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 23-1]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송정리 만세 시위 준비위원 |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광주 지역 출신의 독립유공자.
박경주(朴京柱)[1896~1938]는 1896년 5월 13일 전라도 나주부 광주군[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선암동]에서 태어났다. 광주에서 일어난 3.1운동에 참가하였고, 그 뒤에도 「독립선언서」와 경고문, 「독립가」를 등사하여 전라남도 목포 등 인근 지역에 배포하고 만세 시위를 계속하다가 징역형을 선고받아 옥고를 치렀다.
1919년 3월 10일 김강(金剛), 김철(金鐵), 최병준(崔丙浚), 최한영(崔漢泳) 등이 주도하여 전개한 광주 3.1운동에 참가하여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시위 군중에게 나누어 주고 "조선 독립 만세"를 부르며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면 부동정(不動町) 시장 거리[지금의 광주광역시 동구 불로동 174 일대]를 행진하였다.
그날 저녁 일본 경찰과 기마 헌병이 출동하여 김철 등 주모자를 연행하자, 박경주는 격노한 시위 군중을 결집하여 경찰서 마당으로 돌진한 뒤 연행자의 석방을 요구하였다. 일제는 재향군인, 소방수 등을 동원하여 시위 군중을 해산시키고 대대적인 검속을 실시하였다.
박경주는 검속을 피해 피신한 뒤 김태열(金泰烈)을 만나 「독립선언서」를 다시 인쇄할 것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범윤두(范潤斗) 등과 함께 1919년 3월 17~18일에 걸쳐 전라남도 광산군 송정면 선암리[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선암동] 자택에서 「독립선언서」와 경고문 각 1500여 매와 「독립가」 500여 매를 등사하였다. 박경주는 등사한 「독립선언서」와 경고문, 「독립가」를 전라남도 목포 등 인근 지역에 배포하고 독립만세 시위를 계속하다가 체포되었다.
1919년 9월 15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아 옥고를 치렀고, 그 뒤 평양에 이주하여 살다가 1938년 10월 5일 사망하였다.
1997년 10월 17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제2묘역에 안장되었다.
1977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각각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