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884 |
---|---|
한자 | 高傅起 |
영어공식명칭 | Ko Bugi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이바른 |
조선시대 전라도 광주 출신의 효자.
고부기(高傅起)[?~?]의 본관은 장택(長澤)이다. 할아버지는 고경림(高敬臨), 아버지는 고익후(高益厚)이다. 아들은 고두로(高斗老)이다.
고부기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나이 13세에 아버지가 풍질(風疾)에 걸려 말하고 행동하기 어려웠는데, 고부기가 30여 년을 한결같이 밤낮으로 부축하고 아버지의 뜻을 받들며 정성으로 모셨다. 어느 날 고부기가 서재에서 글을 읽다가 문득 마음이 놀래고 몸이 떨렸는데, 정신없이 집에 돌아오니 아버지가 떡을 먹다가 목이 막혀 거의 구할 수 없는 위급한 상황이었다. 마을 사람들이 이 일을 듣고는 놀라 감탄하였다. 고부기의 계모(繼母)는 성품이 몹시 사나웠는데, 고부기는 계모를 지극한 정성으로 섬겨 마침내 감화(感化)를 얻었다고 한다. 고을 사람들이 고부기의 이러한 효행을 관청에 알렸고, 관청은 조정에 보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