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840 |
---|---|
한자 | 鄭良翰 |
영어공식명칭 | Jeong Yanghan |
이칭/별칭 | 대거(大擧),지족당(知足堂)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홍창우 |
조선 후기 광주 지역 출신으로 홍문관직제학, 도사 등을 지낸 문신.
정양한(鄭良翰)[1737~?]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대거(大擧), 호는 지족당(知足堂)이다. 죽사(竹沙) 정구(鄭球)의 6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기현(鄭起賢), 할아버지는 정익수(鄭益壽), 아버지는 정시경(鄭時慶), 어머니는 송덕겸(宋德謙)의 딸이다.
정양한은 1737년(영조 13) 광주 지역에서 태어났으며, 41세가 되던 1777년(정조 1) 식년시 병과에서 8위[전체 18위]를 차지하여 문과에 급제하였다. 당시 시험은 창경궁(昌慶宮) 춘당대(春塘臺)에서 거행되었으며, 문제는 ‘논(論) 인인능악인(仁人能惡人)’이었다. 그러나 그 이후에 정양한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서 정양한의 기록을 전혀 찾아볼 수 없으며, 『광주읍지(光州邑誌)』에는 “경주정씨로, 정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도사를 역임하였다.”라고 짤막하게 적혀 있을 뿐이다. 『호남인물지(湖南人物志)』에는 정조와 관련된 일화가 나오는데, 과거에 급제하여 “홍문관직제학(弘文館直提學)으로서 입시하니 왕은 석상진(席上珍)이라 일컫고 녹권(錄券) 두 편을 하사하였다.”라는 기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