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369 |
---|---|
한자 | 鳳山祠廟庭碑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광주광역시 서구 용두동 산79 |
시대 |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
집필자 | 김희태 |
건립 시기/일시 | 1976년![]() |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855년 - 고광선 출생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934년 - 고광선 사망 |
현 소재지 | 봉산사 -
광주광역시 서구 용두동 산79
![]() |
성격 | 비 |
양식 | 석비 |
관련 인물 | 고광선 |
재질 | 돌 |
소유자 | 장흥고씨 종중 |
관리자 | 장흥고씨 종중 |
광주광역시 서구 용두동에 있는 봉산사의 묘정비.
봉산사묘정비는 봉산사의 묘정(廟庭)에 세운 비이다. 봉산사는 현와 고광선(高光善)[1855~1934]을 모시는 사우(寺宇)이며, 봉산사묘정비에는 봉산사의 건립 취지와 고광선의 공적, 추숭(追崇) 내용이 새겨져 있다.
광주광역시 서구 용두동 봉학마을 봉산사 경내에 있다.
장방형 좌대 가운데 홈을 만들어 비 몸을 세우고 그 위로는 한옥 지붕형의 비 갓을 얹었다.
앞면에 큰 글자 1행 내려쓰기로 '봉산사묘정비(鳳山祠廟庭碑)'라고 새겨져 있다. 권중해가 글을 지었고 기영명이 글씨를 썼다.
고광선은 전라도 광주 출신으로, 기우만, 정의림, 오계수, 오준선, 박노술, 기동준 등과 함께 교유(交遊)하였다. 문인들과 후손들이 고광선을 기리기 위해 1936년 고광선의 영당을 건립하였으며, 1964년 향교 유림들이 이 영당의 이름을 봉산사(鳳山祠)로 변경하였다. 봉산사묘정비는 1976년 봉산사 내에 세워졌다.
봉산사묘정비는 전라도 광주에서 활동한 학자 고광선을 배향한 봉산사의 묘정비로, 고광선의 행적뿐만 아니라 배향 과정을 통해 추숭 활동에 관해서도 알 수 있어 전라도 광주 지역의 향토사적 사료로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