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239 |
---|---|
한자 | 泳樂亭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광주광역시 서구 유덕로 12[유촌동 494-1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현숙 |
건립 시기/일시 | 1948년![]() |
---|---|
개축|증축 시기/일시 | 2014년 - 영락정 개축 |
현 소재지 | 영락정 -
광주광역시 서구 유덕로 12[유촌동 494-11]![]() |
성격 | 정자 |
양식 | 팔각지붕 |
정면 칸수 | 1칸 |
소유자 | 유덕동 주민자치회 |
관리자 | 유덕동 주민자치회 |
광주광역시 서구 유덕동에 있는 1948년에 건립된 정자.
영락정(泳樂亭)은 정종태(程宗太), 김정곤(金晶坤), 정원채(鄭元采), 정찬규(鄭燦奎)를 중심으로 유덕동 마을 동민들이 원래 있던 영풍정(泳豊亭)이 쇠락하여 1948년에 다시 지은 정자이다.
광주광역시 서구 유덕동행정복지센터에서 서광주농협 유덕지점으로 향하면 농협 맞은편에 있다.
정자가 서 있는 곳의 예전 풍광은 맑은 호수가 정자 아래에 있어 많은 사람들이 물놀이를 즐겼다고 한다. 또한, 인근에 드넓은 백사장을 낀 극락강이 있어 1970년대까지도 해도 광주 지역 학생들의 소풍 장소로 애용되는 곳이었다. 그 밖에 광주 지역 사람들이 한번쯤 다녀온 장소로 덕흥나루가 있었는데, 1970년대까지 운영되었다고 한다.
영락정은 버드나무가 많고 멀리 나루터가 보이는 강변마을에 세워진 정자였다. 급격히 변화해 온 유덕동 버들마을 인근의 일대를 답사하는 2008년 탐방기 자료에도 사진이 남아 있어 그때까지도 존립하였음을 알 수 있다. 2014년에 팔각형 정자로 개축되었다.
전면 2칸, 측면 2칸으로 높은 마루와 낮은 난간으로만 이뤄져 개방되었으며 지붕은 우진각이었다. 현재는 팔각형 정자로 중건되었다. 정내에는 영락정이란 현판도 걸려 있었다.
모정의 역할을 하고 있다.
도시 속에 농촌마을의 흔적으로 남은 정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