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156 |
---|---|
한자 | 五一八舊墓地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북구 수곡동 산 29-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임선화 |
조성|건립 시기/일시 | 1977년![]()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8년 1월 12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80년 5월 29일 - 광주시립공원묘지 제3묘역에 5.18민주화운동 희생자 안장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7년 5월 - 국립5.18민주묘지 묘역 조성공사 완공으로 5.18구묘지에 안장된 5.18민주화운동 희생자 이장 |
현 소재지 | 5.18구묘지 -
광주광역시 북구 수곡동 산 29-2
![]() |
성격 | 묘지공원 |
문화재 지정 번호 | 5.18사적 제24호 |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진압에 희생된 이들을 안장하였던 곳.
1980년 5월 27일 계엄군이 전라남도청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시민 희생자가 나타났으며, 상무관에 안치된 희생자 129구의 시신은 5월 29일 청소차에 실려 북구 망월동 광주시립공원묘지 제3묘역[망월동 묘지]에 안장되었다. 광주시립공원묘지 제3묘역이 바로 5.18구묘지이다.
이후 1980년대 반독재 투쟁을 하다 산화한 민주열사들도 점차 이곳에 안장되기 시작하였다. 1997년 5월 국립5.18민주묘지 묘역 조성공사가 완공되자 5.18민주유공자들을 이장하였다.
국립5.18민주묘지 후문 맞은편에 있다.
5.18민주화운동 희생자들은 국립5.18민주묘지 묘역 조성공사 완공 후 이장하였으며, 지금은 민주 인사와 열사들의 묘가 남아 있어, 매년 민족·민주 열사에 대한 참배 및 환경 정비 활동을 펼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