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897 |
---|---|
한자 | 五一八民主化運動記錄物-公共機關-生産-五一八民主化運動資料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양라윤 |
201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공공기관이 생산한 5.18관련 자료.
『5.18민주화운동기록물 - 공공기관이 생산한 5.18민주화운동 자료』는 1980년 5월 18일부터 항쟁의 수습기간까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공공기관이 생산한 5.18민주화운동 관련 총 25건의 자료이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이 발발하자 중앙정부는 각 기관에 계엄포고령을 시달하고 계엄 업무에 협조하라는 지시를 지방정부에 전달하였다. 이에 지방정부 기관이 관련 보고를 위해 생산한 문서철과 중앙정부에서 정리· 보고한 문서철을 국가기록원에서 보존·관리하고 있다.
『5.18민주화운동기록물 - 공공기관이 생산한 5.18민주화운동 자료』는 공공기관의 문서양식에 따라 작성된 공문서철이다. 지방정부에서는 5.18과 관련된 피해 현황, 수습 및 복구 상황 등을 정리해 중앙정부에 보고하고, 중앙정부에서도 항쟁의 피해 상황, 수습 상황, 복구기준 및 문제점 등에 대해 정리하여 묶었다.
지방정부 기관은 광주시, 전라남도, 광주경찰서 등으로 여기서 생산한 자료는 「광주사태사망자」, 「광주사태복구상황」, 「광주사태피해」, 「광주사태복구상황」, 「광주사태(성금모금)」, 「5.18장의비 관계」, 「포고령위반자 관계 기록철」 등이다. 중앙정부 기관은 내무부, 보건사회부, 건설부, 대통령비서실 등으로, 「광주사태 대책실무위원회」, 「광주사태복구기준 및 피해상황」, 「광주사태수습상황」, 「광주사태피해복구기준시달」, 「광주사태피해복구특별지원기준(안)」 등의 자료가 있다. 각 자료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이에 이뤄진 지침, 보고내용, 상황보고, 수습과정이 담겨 있다.
『5.18민주화운동기록물 - 공공기관이 생산한 5.18민주화운동 자료』는 5.18민주화운동 이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대처 및 수습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객관적 기록물로 공공기관의 활동 영역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1980년 당시 사망자, 부상자, 구속자 등 인적 피해, 공공기관과 시민들의 재산 피해의 규모, 5.18민주화운동 이후 수습 및 복구 과정, 행정기관의 역할을 살펴보는 데 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