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566 |
---|---|
영어공식명칭 | KimSatgatgil Road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550[청풍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나영 |
준공 시기/일시 | 2009년![]() |
---|---|
최초 설립지 | 김삿갓길 -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550 |
현 소재지 | 김삿갓길 -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550
![]() |
성격 | 길 |
전화 | 062-227-1187[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 |
광주광역시에서 김삿갓이 지나갔다고 하는 청풍쉼터에서 화암마을 옛주막터에 이르는 무등산 옛길의 한 구간.
방랑시인 김삿갓으로 알려진 김병연(金炳淵)[1807~1863]은 경기도 양주에서 태어났다. 평안도 선천부사였던 할아버지 김익순이 홍경래의 난 때 투항한 죄로 멸족당한 가운데 형과 함께 살아남았고, 멸족에서 폐족으로 사면되어 형제가 어머니에게 돌아가 강원도 영월군에서 숨어 살았다. 자신의 내력을 모른 채 과거에 응시하여 할아버지를 조롱하는 시제로 장원급제했는데, 후에 그 사실을 알게 되어 조상을 욕되게 한 죄인이라는 자책과 폐족자에 대한 멸시로 처자식을 둔 채 방랑에 나선 인물이다.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기에 삿갓을 쓰고 죽장을 짚고 방랑했는데, 무등산~장불재~적벽을 지나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에 도착하여 시를 남겼다. 말년에 동복면 지역의 무등산에서 머물다 사망하였다.
2009년 무등산 옛길을 조성하면서, 청풍쉼터에서 화암마을 옛 주막터에 이르는 길이 김삿갓 시인이 화순적벽으로 가는 길이었다 하여 김삿갓길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청암교 끝에서 삼거리 도로를 건너면 청풍쉼터를 만나게 되는데, 청풍쉼터의 왼쪽에는 '청풍쉼터'라는 표지석이 있고, 오른쪽에는 ‘김삿갓 동산’이라 새겨진 삿갓형태의 표지석이 있다. 두 표지석 사이로 들어가면 김삿갓시비가 있다. 청풍쉼터에서 무등산 옛길의 표지판을 따라 산길을 걸어가다 보면 화암마을의 옛 주막터를 만나게 되는데, 김삿갓길은 옛 주막터에서 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