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368 |
---|---|
한자 | 鹿洞驛 |
영어공식명칭 | Nokdong Stati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광주광역시 동구 녹동길 45[용산동 1-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윤희철 |
개관|개장 시기/일시 | 2004년 4월 28일![]() |
---|---|
최초 설립지 | 녹동역 - 광주광역시 동구 녹동길 45[용산동 1-1] |
현 소재지 | 녹동역 -
광주광역시 동구 녹동길 45[용산동 1-1]![]() |
성격 | 도시철도역 |
광주광역시 동구 월남동에 있는 광주도시철도1호선 역.
녹동역은 월남동의 자연부락 중 하나인 녹동(鹿洞)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용산차량사업소 인근 녹동마을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위하여 만들어졌으며, 역 남쪽에 몇몇 아파트 단지가 생긴 후에는 이용률이 소폭 증가하였다.
당초 건립 예정이 없었지만, 녹동마을 거주민들을 위해 용산차량사업소에 연계해 세운 1면 1선식 단선의 도시철도역이다. 이를 관리하는 도시철도공사에서는 간이역으로 구분하고 있고, 지상 1층 구조로 되어 있다. 출입구는 단 한 곳이다.
간이역이므로 이용자도 적고 차량의 배차 간격이 다른 역에 비해 길기 때문에, 녹동역에서 도시철도를 이용하려 할 때에는 운행횟수와 시간표를 확인해야 한다. 승강장이 유일하게 외부에 개방되어 있는 간이역이어서 이용자들에게는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추운 승강장이기도 하다. 2006년에는 이용자의 안전을 위해 로프[셔터]형 스크린도어를 설치했다가 2012년 이용자가 적어 가동을 중단했었다. 2016년부터 도시철도 전 구간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면서 녹동역에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운영 중이다.
녹동역은 2005년 1만 4395명에서 계속 이용자가 증가하여, 2020년 기준 4만 9418명이 이용하였다. 녹동차량사업소[용산차량사업소]를 제외하면 주변에 아무것도 없었지만, 최근 아파트 단지가 도보로 5분 거리에 생기면서, 이용자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녹동역을 찾아가려면 녹동버스정류장에서 내려 아파트[호반베르디움] 방향으로 가면 용산차량기지 이정표가 있다. 이정표 안내에 따라 다리를 건너 마을로 들어가면 녹동역이 나온다. 역에서 버스정류장까지 10분 남짓 거리가 있고 외진 곳에 있기 때문에,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간 환승을 하려면 소태역에서 환승해야 한다. 광주광역시 인근의 시군으로 환승하기에는 편하게 되어 있는데, 화순, 고흥, 보성, 장흥행 시외버스와 연계 환승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