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091 |
---|---|
한자 | 證心寺川 |
영어공식명칭 | Jeungsimsacheon River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소태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경희 |
전구간 | 증심사천 -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소태동![]() |
---|---|
해당 지역 소재지 | 발원지 -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
해당 지역 소재지 | 합류지 - 광주광역시 동구 소태동 |
성격 | 하천 |
면적 | 11.45㎢[유역면적] |
길이 | 4.55㎞[하천연장]|50.89㎞[유로연장] |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에서 발원하여 소태동에서 광주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증심사천은 동구 운림동의 무등산 새인봉과 중머리재 북서쪽 골짜기인 신림골에서 발원하여 원지교를 지나 소태동에서 광주천과 합류하는 지방하천이다.
증심사계곡에는 약사사, 증심사, 선주암, 문빈정사, 운림사 등의 여러 사찰이 있는데, 증심사천의 명칭은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인 통일신라시대의 사찰 증심사에서 유래하였다.
무등산 신림골에서 발원한 증심사천 물줄기와 동적골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덕산골의 물과 합류하고 빈대심골과 금성골의 물을 더해 서쪽으로 흘러 동적골 및 가리지골의 물을 더하여 흐르다 광주천과 합류한다. 증심사천은 동구 운림동 81번지선부터 소태동 광주천 합류점까지 하천연장 4.55㎞, 유로연장 50.89㎞, 유역면적 11.45㎢이다. 광주천의 지류 하천 중 복개되지 않은 유일한 하천이다. 증심사천 상류인 무등산국립공원 내 물줄기 구간의 하상은 주로 바위와 자갈로 이루어져 있고, 물봉선, 차나무, 입술망초 등의 식물과 1급수 어종인 버들치가 서식하고 있다. 또한 강도래류, 날도래류, 옆새우, 다슬기 등 깨끗한 물에서 사는 대형무척추저서생물을 쉽게 관찰할 수 있을만큼 수질이 양호하다.
증심사천 하천유지용수 확보를 위해 학동 금호아파트 앞에서 2만 톤의 하수종말처리장의 고도처리수를 펌핑하여 흘려보내고 있다. 증심사 지구 자연환경복원사업[2002~2010년]으로 증심교 아래 계곡 양쪽에 밀집해 있던 상가를 증심사 버스정류장 인근으로 이주시켜 환경을 정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