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029 |
---|---|
영어공식명칭 | Neutjae Pass |
이칭/별칭 | 만치(晩峙)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화암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경수 |
전구간 | 늦재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화암동 |
---|---|
해당 지역 소재지 | 늦재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화암동![]() |
성격 | 고개 |
높이 | 약 490m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과 화암동을 연결하는 고개.
무등산 동화사터에서 급하게 내려선 등성이가 완만해져, 늘어지게 원효봉으로 이어진 경사 급변점에 늦재가 자리한다. 『한국지명총람』13-전남편의 화암동에 “늦재[晩峙]치는 화암동 남쪽에 있는 고개”라고 기록되어 있다. 주변 산세와 견주어 넓어진 땅 모양을 반영하여 너재〉늦재로 변했을 가능성도 있다.
무등산 동화사터에서 북쪽으로 내려선 능선은 늦재[490m]를 거쳐 원효봉에서 충장사 서편 배재와 충효동 도요지로 이어진다. 동편 수계는 원효계곡 증암강, 서쪽 수계는 석곡천이다.
무등산장까지 시내버스가 왕래하여 광주 시내 각급 학교에서 소풍장소로 이용하였던 곳이다. 북동편에 원효사와 원효계곡이 있고, 남서쪽으로 바람재에서 너덜겅약수터를 거쳐 토끼등까지 자동차가 왕복할 만큼의 폭으로 무등산 등산로가 나 있다. 원효사부터 늦재삼거리까지의 길은 아스팔트 2차선 포장도로이고 약수터와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동구 산수동에서 원효계곡 사이에는 6.25전쟁 때 작전도로가 놓였다고 한다. 이를 기반으로 1958년 호남토건주식회사의 시공에 의해 폭 8m의 길이 개통되었고, 1974년 포장공사가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