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022 |
---|---|
영어공식명칭 | Mulneomeogogae Pass |
이칭/별칭 | 무네밋재,수남현(水南峴),수월치(水越峙),수유현,수현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산정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경수 |
전구간 | 물넘어고개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산정동 |
---|---|
해당 지역 소재지 | 물넘어고개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산정동![]() |
성격 | 고개 |
높이 | 약 95m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과 산정동을 연결하는 고개.
대개 분수계(分水界)[하천의 유역을 나누는 경계]를 이룬 곳을 물넘이라고 칭하였다. 『한국지명총람』13-전남편의 운수리와 장수리에 “무네밋재[수남현·수유현]는 장상등 남쪽에서 송정읍 운수리의 절골로 가는 고개이다. 고개 밑에 살던 처녀가 절골에 있는 절의 중을 사모하였는데, 중에게 시집갈 수 없음을 비관하다가 죽으니 처녀집을 도와주려는 참에 날이 가물어 큰 걱정을 하고 있는 것을 보고, 절골의 물을 이 고개 밑으로 넘겨 들에 물을 대주었다고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지지자료』의 와곡면과 소지면에 ‘무너미재[水越峙]’·‘무네미고개[水峴]’가 보인다.
어등산에서 북동쪽으로 향하다 남동쪽으로 도는 능선은 사동(寺洞)과 수남리(水南里) 사이 물넘어고개[95m]로 내려서 동자봉으로 이어진다. 광산구 송정동과 하남동의 행정구역을 나눈 산줄기이다.
조선시대 나주군 청암역에서 선암역을 거쳐 한성으로 가는 지름길목에 자리한 고개이다. 나그네길에는 연화(蓮花)약수와 천운정(天雲井) 우물터가 있었다. 현재 동곡로에서 운수나들목을 거쳐 하남진곡산단로가 6차선으로 놓여 있고, 고개에는 어등산터널이 설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