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016 |
---|---|
영어공식명칭 | Kkachigogae Pass |
이칭/별칭 | 깐치고개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경수 |
전구간 | 까치고개 -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 |
---|---|
해당 지역 소재지 | 까치고개 -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
![]() |
성격 | 고개 |
높이 | 약 55m |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과 서동을 연결하는 고개.
까치고개의 명칭은 본래 시내와 변두리의 사이라는 의미로 '사이재' 또는 '새재'라고 하였고, ‘사이’를 한자 간(間)으로 표기하여 '간치'로 쓰다가, 깐치〉까치고개로 변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조선시대의 광주 서창에서 광주읍성 서문 간에는 노인고개, 진다리[벽도교], 까치고개[55m], 향교촌을 거쳐 광주천 노짓다리를 건너는 코스가 지름길이었다. 까치고개는 양림산에서 서쪽 수박등으로 이어지는 능선에 자리한 고개이고, 시내로 접어드는 길목이다. 국립지리원 발행 『5천분의 1 지형도』에 월산2동과 백운동 간 도로가에 표기되어 있다. 『한국지명총람』13-전남편의 백운동에는 “깐치고개는 진다리 북쪽에서 구동으로 가는 낮은 고개”라고 기록되어 있다.
일제강점기에 신작로가 놓이고, 고갯마루에 화장장이 있었다. 대인동에 버스터미널이 있었을 때에는 나주·목포 방면 시외버스들의 통행으로 번잡하였다. 현재 6차선 독립로변 고개 언저리에는 동편 휴먼시아를 비롯한 아파트 단지와 주유소, 북서편 까치목욕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