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락와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37
한자 歸樂窩集
영어공식명칭 Gwiragwajip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백지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35년연표보기 - 『귀락와집』 간행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33[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시문집
저자 유광천
간행자 유병구|유병희
권책 16권 8책
행자 10행 22자
규격 32.4×20.8㎝[전체 크기]|21.3×15.5㎝[반곽]
어미 상하향일엽화문어미(上下向一葉花紋魚尾)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유광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간행한 시문집.

[저자]

유광천(柳匡天)[1732~1799]의 본관은 서산(瑞山)이고, 자는 군필(君弼), 호는 귀락와(歸樂窩)이다. 이조 판서를 지낸 유백유(柳伯儒)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나옹(懶翁) 유익서(柳益瑞), 할아버지는 생원(生員) 유지채(柳之采)이다. 아버지는 양기공(兩棄公) 유휘소(柳輝韶)이고, 어머니는 함평이씨(咸平李氏) 생원 이숙빈(李淑馪)의 딸이다. 처는 문정공(文正公) 김인후(金麟厚)의 6대손 김기조(金基祖)의 딸 울산김씨이다. 1732년에 출생한 유광천은 어려서부터 학문을 익혀 9세에 이미 『논어(論語)』와 『맹자(孟子)』를 마치고 장편시를 지었으며, 장성해서는 문장으로 이름이 났다. 24세 때인 1755년에 광주에서 순창군 복흥면으로 옮겨 거주하였다. 28세 때인 1759년[영조 35년]에 기묘 별시 병과 6위로 급제하였다. 장령(掌令)을 거쳐 경성 판관(鏡城判官)에 제수(除授)되었고, 헌납(獻納)·사간(司諫)에 이어 1796년에 승지를 지내다가 1799년에 세상을 떠났다.

[편찬/간행 경위]

『귀락와집(歸樂窩集)』은 가장(家藏)되어 오던 유고를 1935년에 유광천의 5대손 유영희(柳永禧)가 연보를 작성하고, 정기(鄭琦)의 행장(行狀)을 얻어 6대손 유병구(柳秉九)와 유병희(柳秉熙)가 편집·간행하였다.

[형태/서지]

『귀락와집』은 16권 8책의 석판본이다. 광주광역시 북구 전남대학교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귀락와집』은 권1~권4에 시 645수, 권5~9에 소(疏) 23편, 계사(啓辭) 6편, 차자(箚子) 2편, 상언(上言) 1편, 책(策) 1편, 일기 1편, 어제경의문대(御製經義問對) 9편, 권10~권12에는 서(書) 84편, 잡저 10편, 서(序) 7편, 기 13편, 발 14편, 표·전(表箋) 2편, 상량문 1편, 축문 3편, 제문 11편, 행장 4편, 묘표 1편, 권13~16에 부록으로 차귀락와원운(次歸樂窩原韻) 101수, 서(書) 107편, 만사 108편, 제문 6편, 연보 1편, 행장 1편, 묘갈명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귀락와집』은 조선 후기의 사회·사상 등을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광주권문집해제』(광주직할시, 199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http://www.grandculture.net)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