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4567 |
---|---|
한자 | 龍山-思亭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염승연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89년 1월 11일 - 「용산마을 사정」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산마을에 거주하는 임정호의 이야기를 채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90년 - 「용산마을 사정」 『광주의 전설』에 수록 |
관련 지명 | 용진산 -
광주광역시 광산구 선동 산69
![]() |
채록지 | 산응부락 -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량동 344-1번지 지산마을
![]() |
성격 | 설화|지명전설 |
모티프 유형 | 지명유래 |
광주광역시 용산마을에 있는 정자나무의 이름에 관한 이야기.
「용산마을 사정」은 용산마을에 있는 사정(思亭)이라는 정자나무의 유래에 관한 지명전설이다. 한자로 생각 '사(思)' 자와 정자 '정(亭)'을 써 '정자를 생각한다'라는 의미이다.
1989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량동 지산마을 산응부락에 거주하는 임정호[남, 75세]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1990년 광주직할시에서 간행한 『광주의 전설』에 수록하였다.
용진산 아래의 산응마을에 는 수백 년 된 커다란 정자나무가 있다. 이 정자나무의 이름이 한자로 생각 사(思) 자와 정자 정(亭)을 써서 '사정(思亭)'인데, '정자를 생각한다'라는 의미이다. 모래 '사[沙 또는 砂]' 자를 사용하여, '사정'이라는 말도 있었으나, 이는 적합하지 않다. 또 다른 한자 쏠 '사(射)' 자를 사용해 '사정(射亭)'이라고 부르도 했다. 마을 어른들의 말에 따르면, 이 마을의 북창이라는 곳에 감초가 있었는데, 그 앞에 가면창을 세워 놓고 활을 쏘았기 때문에 사정(射亭)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고 한다.
「용산마을 사정」의 주요 모티프는 '지형에 따른 지명유래'이다. 용진산은 어등산과 함께 광산구를 대표하는 산으로, 토봉(349m)과 석봉(339m)이 마주보는 쌍봉 모양의 산이다. 토봉 앞에 있는 북창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이 지역이 나주군에 속해 있을 때 북쪽에 있는 '창고'라고 해서 용산, 용수, 용강 세 마을을 '북창'이라고 불렸고, 일제 강점기 때는 용진산 밑에 있는 마을이라고 해서 '용산'이라고 불렸다. 이 마을에 설치한 창고에 저장된 곡물은 황룡강 수로를 통하여 나주목(羅州牧)으로 운반되었다. 용진산의 층암절벽을 오르면 백년 묵은 노송을 비롯해 비자나무, 싸리나무, 참나무가 어우러져 있고, 정자와 함께 백일홍 두 그루와 은행나무가 있는데, 이곳에 사정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