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2645 |
---|---|
한자 | 前坪堤 |
이칭/별칭 | 매월저수지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광주광역시 서구 전평길 9[매월동 51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장섭 |
준공 시기/일시 | 1943년![]()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6년 - 전평제 지정 |
최초 설립지 | 전평제 - 전라도 광주시 서구 매월동 |
현 소재지 | 전평제 -
광주광역시 서구 전평길 9[매월동]![]() |
성격 | 저수 시설 |
면적 | 46,992㎡ |
전화 | 062-365-4114[이용안내] |
광주광역시 서구 매월동에 있는 저수 시설.
전평제(前坪堤)라는 이름은 회재 박광옥(朴光玉)[1526~1593] 유허비(遺墟碑)[선현의 자취가 있는 곳을 후세에 알리거나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비]에 등장한다. 회재가 나이 43세 때 농사를 짓기 위해 개산 남쪽의 물을 끌어들여 만든 것이 전평제라고 알려져 있다.
1943년에 매월동, 벽진동 농경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재해 방지를 위해 축조해서 도심 근교에 방치된 저수지를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국토공원화 시범사업으로 쉼터를 조성하였다.
개금산과 백마산 사이에 있고 저수지 가운데 인공섬을 사이에 두고 목교가 설치되어 있어 수변 경관 및 자연 탐방과 함께 가족단위의 여가 선용 장소로 적합하다. 공원 면적 4만 6992㎡, 저수량 10만 톤에 한식 정자 1동, 일주 산책로 1,004m, 목교 3개소 75m, 인공섬 1개소가 있다.
전평제라는 이름보다 매월저수지로 알고 있거나 광주 도심에서 벗어나 오리고기나 보리밥 등을 먹을 수 있는 음식점들이 모여 있는 곳의 저수지 정도로만 알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광주광역시 저수지는 2012년도 기준으로 140개소인데 광주광역시 각 구청이 85개소, 한국농어촌공사가 55개소를 관리하고 있다. 전평제는 광주광역시가 관리하고 있는 저수지로 2006년에 지정된 도시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