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561 |
---|---|
한자 | 道泉洞-遺物散布地 |
영어공식명칭 | Artifact Scattering Sites in Docheon-dong Keundorangsil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물 산포지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천동 433 |
시대 | 선사/철기,고대/초기 국가 시대 |
집필자 | 강은주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7년 10월~11월 - 도천동 큰도랑실 유물산포지 호남고고학회에서 지표조사 |
---|---|
소재지 | 도천동 큰도랑실 유물산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천동 443 일대![]() |
성격 | 유물산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천동 큰도랑실에 있는 초기 철기시대부터 원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도천동 큰도랑실마을은 도금동의 중앙에서 약간 북서쪽으로 떨어져 있다. 유물산포지는 큰도랑실마을 서쪽 구릉 말단부의 개활지에 있다. 인근 하남공단과 유물산포지 사이에는 작은 개천이 흐르고 있다.
도천동 큰도랑실 유물은 1997년 호남고고학회에서 수행한 호남고속철도 일부 구간[광주~정읍 간]의 정밀 지표조사로 확인되었다. 도천동 큰도랑실 유물산포지는 1997년 조사 당시 밭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경사도가 낮은 남쪽 사면에 형성되어 있었다. 유물은 민무늬토기굽 부분과 동체 부분 조각, 아가리 부분 조각[구연부편(口緣部片)] 등이 채집되었다.
현재 위치는 광주광역시 하남일반산업단지 10번로와 도천북길이 만나는 지점에서 동쪽으로 약 160m 떨어진 지점이며 밭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천동 큰도랑실 유물산포지에서 동쪽으로 850m 떨어진 지점에 광산나들목이 있다.
인근의 광주광역시 풍영정천 일대에는 초기 철기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는 많은 유적들이 출토되고 있어 도천동 큰도랑실 일대에서도 당시의 유적이 출토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