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559 |
---|---|
한자 | 雲水洞遺物散布地 |
영어공식명칭 | Artifact Scattering Sites in Unsu-do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물 산포지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산314|273~275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려/고려,조선/조선 |
집필자 | 강은주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1년 12월 10일~29일 - 운수동 유물산포지 중앙문화재연구원에서 지표조사 |
---|---|
소재지 | 운수동 유물산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산 314|273~275![]() |
성격 | 유물산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에 있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운수동 유물산포지는 광주광역시 운수동의 남서쪽에 있으며, 책상봉[108.9m]의 정상부에서 남동쪽으로 뻗어내린 구릉의 말단부에 있다. 운수동 유물산포지 북서쪽에는 높이 100m 정도의 여러 개의 산이 있으며, 남쪽으로는 국도 제22호선이 지나고 남동쪽에는 광주광역시 보문고등학교가 있다.
광주광역시 운수동 유물산포지는 무안광주고속도로 공사 5공구에 속해 2001년 12월 10일~29일까지 중앙문화재연구원에서 지표조사를 진행하였다. 운수동 유물산포지 일대에서 바둑판무늬[격자문(格子紋)] 타날(打捺)[토기의 몸통을 다지거나 부풀리기 위해 두들개로 두드림.], 연질토기편, 기와편, 자기편 등이 수습되었으며, 조사 당시 동쪽에는 운수제와 원동 천주교회, 공동묘지, 북쪽에는 민묘 여러 기가 있었고 운수제와 접하는 부분은 밭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운수동 유물산포지 북쪽으로는 무안광주고속도로와 어등산컨트리클럽이 있으며, 동쪽으로는 운수제가 있고, 남서쪽으로 직선거리 470m 지점에 운수나들목이 있다.
광주광역시 운수동 유물산포지는 2001년 지표조사 이후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책상봉의 구릉 말단부 주변의 선암동 유적에서 삼국시대 유적이 다수 확인되어 이 일대에도 당시의 유적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