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333 |
---|---|
한자 | 長德洞-群 |
영어공식명칭 | Jangja Dolmen in Jangdeok-dong |
이칭/별칭 | 장덕동 장자마을 지석묘,광주 장덕동 장자 지석묘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 1495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강진표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6년 - 장덕동 장자 고인돌군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지표 조사 |
---|---|
소재지 | 장덕동 장자 고인돌군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 1495
![]() |
성격 | 분묘 |
양식 | 고인돌 |
크기(높이,지름) | 1호: 180㎝[길이]|147㎝[너비]|120㎝[두께]|2호: 220㎝[길이]|160㎝[너비]|86㎝[두께]|3호: 75㎝[길이]|62㎝[너비]|42㎝[두께]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장덕동 장자 고인돌군은 장덕초등학교와 장덕중학교 사이 구릉 동쪽 사면에 대나무숲으로 둘러싸여 3기가 있다.
장덕동 장자 고인돌군은 1996년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실시한 광주광역시 수완 지구 택지 개발 예정지에 대한 지표 조사에서 확인되었다. 이후 2015년 조사까지 고인돌 명칭과 기수가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다.
장덕동 장자 고인돌군은 3기 모두 기울어지거나 덮개돌 하부가 묻혀 있다. 1호와 2호는 5m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덮개돌 평면 형태는 네모꼴과 특정한 형태가 없는 것으로 구분된다.
장덕동 장자 고인돌군은 이동된 고인돌이 있지만 비교적 온전하게 잘 보존되어 있다.
장덕동 장자 고인돌군은 장덕동 성덕 고인돌군과 인접하며, 주변에서 청동기시대 마을과 분묘군이 확인된다. 따라서 이 일대의 청동기시대 마을과 관련한 집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청동기시대 매장 문화를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