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315 |
---|---|
한자 | 道德洞-群 |
영어공식명칭 | Sangji Dolmen in Dodeok-dong |
이칭/별칭 | 도덕동 상지마을 고인돌,도덕동 상지 지석묘,광주 도덕동 상지 지석묘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덕동 171-2|192-2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강진표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0년 - 도덕동 상지 고인돌군 확인 조사 |
---|---|
소재지 | 도덕동 상지 고인돌군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덕동 171-2|192-2![]() |
성격 | 분묘 |
양식 | 고인돌 |
크기(높이,지름) | 1호: 240㎝[길이]|125㎝[너비]|30㎝[두께]|2호: 260㎝[길이]|180㎝[너비]|70㎝[두께]|3호: 140㎝[길이]|100㎝[너비]|70㎝[두께]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덕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도덕동 상지 고인돌군은 1990년 조사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현재까지 변함없이 고인돌 3기가 유지되고 있다
도덕동 상지 고인돌군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덕동 상지마을 뒤편 나주오씨 제각(祭閣) 동편에 있다.
도덕동 상지 고인돌군은 북동-남서 1열로 배치되었으며, 덮개돌 평면 형태는 장타원형과 네모꼴이다.
도덕동 상지 고인돌 3기가 모두 이동되었다. 2기는 2005년에 신축된 정자[상지정(上池亭)] 서편 밭과 구릉 경계 지점에, 1기는 상지정 바로 앞 시멘트에 묻혀 있다.
도덕동 상지 고인돌은 모두 이동되었지만, 위치와 기수가 유지되고 있는 만큼 10기 미만의 소군집에 대한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유적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