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367 |
---|---|
한자 | 所台驛 |
영어공식명칭 | Sotae Stati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광주광역시 동구 남문로 587[소태동 664-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윤희철 |
개관|개장 시기/일시 | 2004년 4월 28일![]() |
---|---|
최초 설립지 | 소태역 - 광주광역시 동구 남문로 587[소태동 664-1] |
현 소재지 | 소태역 -
광주광역시 동구 남문로 587[소태동 664-1]![]() |
성격 | 도시철도역 |
광주광역시 동구 소태동에 있는 광주도시철도1호선 역.
소태역은 동구 소태동(所台洞)에 자리하고 있으며, 소태동의 지명은 무등산의 '소태실'이라고 하는 큰 골에서 유래하였다. 수원지가 있는 곳이라는 뜻과 옛 지한면의 이름을 따서 1957년부터 불러온 이름이다. 무등산 서쪽 전라남도 화순군으로 통하는 너릿재 아랫동네로 수레바위산, 지장산, 소룡봉, 분적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북사면에 안겨 있다. 『여지도서』와 『호구총수』에 따르면 소태는 광주목 지한면과 부동방면에 속하였다.
화순 방면의 시외 유입 교통량 과다로 인한 노면 소통 혼잡을 줄이기 위하여 순환도로를 확보하고, 역세권 주차장과 자전거 보관소를 소태역 인근에 설치하였다. 도로 양측으로 보도가 3.5~5m 확보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대부분의 열차가 소태역에서 시·종착을 하며, 현재 광주도시철도1호선의 정식 기점이기도 하다. 역 인근에 용산차량사업소가 있어서 기지 입고를 위하여 소태역에서 시·종착하는 경우도 있으며, 일부 편성은 소태역에서 종착하지 않고 용산차량사업소 옆에 병설된 녹동역에 들어갔다가 돌아온다. 소태역부터 도산역까지는 지하 구간이다.
소태역은 녹동역부터 금남로5가역까지를 관장하는 관리역이다. 내부 편의시설로는 화장실 4곳, 자판기 2대, 무료신문 배포대 3개가 구비되어 있다. 스마트폰 충전기는 녹동역을 제외한 전 역사에 설치되어 있다.
외부와의 환승 체계를 보면, 2011년 들어서 화순군, 보성군, 장흥군, 고흥군 쪽으로 갈 수 있는 소태역시외버스정류소가 설치되었다. 기존의 학동정류장이 도시철도역과 연계가 약하고 환승하기 불편하여, 도시철도와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되었다. 열차에서 내려 녹동 방향 승강장 맨 앞으로 가면 1번 출구[지상 건물]로 나가는 에스컬레이터가 있다. 이 에스컬레이터를 타면 1층 대합실이 나오는데, 여기에 시외버스 매표소가 있다. 출구 바로 앞에 있는 시외버스정류장에서 원하는 목적지로 가는 버스를 타면 된다.
소태역은 2005년 54만 4434명에서 계속 이용자의 수가 증가해 2007년 71만 375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용자 수는 약 70만 명을 유지하고 있고, 2020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51만 7993명이 이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