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5846 |
---|---|
한자 | 司馬榜目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5[구동 22-3]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김희태 |
작성 시기/일시 | 1846년![]() |
---|---|
소장처 | 광주향교 -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5[구동 22-3]![]() |
성격 | 문서집 |
용도 | 사마안 명부 |
발급자 | 광주향교 |
광주광역시 남구 광주향교에 있는 조선시대 전라도 광주 출신 사마시 합격자 명부 필사본.
전라도 광주 출신 사마시 합격자 명부를 1846년에 정리한 필사본이다.
『사마방목(司馬榜目)』은 성책(成冊) 문서 형태의 고문서 선장본으로, 『광주사마안(光州司馬案)』과 『광주사마방(光州司馬榜)』 2책이다. 『광주사마안』의 크기는 세로 42.5㎝, 가로 27.5㎝, 『광주사마방』의 크기는 세로 44.5㎝, 가로 27㎝이다.
『광주사마안』은 1396년(태조 5) 진사 김부(金旉)부터 시작하여 1846년까지 사마시에 합격한 493명의 성명과 본관을 기록하였으며, 분량은 총 66면이다. 『광주사마방』은 괘선(罫線) 난외(欄外) 위쪽에 홍무(洪武), 영락(永樂) 등 연호를 기록하였다. 첫 번째로 기록된 김부는 1396년(태조 5) 병자년 생원시 합격자이며, 두 번째 이긍은 1405년(태종 5) 을유년 합격자이다. 이긍은 1405년에 문과에 급제한 기록이 확인되는데 문과 방목에는 거주지가 영광으로 나온다. 이어서 박계양(朴繼陽)[생원], 김방영(金方瑩)[진사], 박수지(朴遂智)[진사] 등이 기록되어 있으며, 『광주사마안』과 같은 시기에 작성되었다. 『광주사마안』에는 성명과 본관만을 기록한 데 비해 『광주사마방』에서는 등방년, 성명, 본관, 부의 직명, 안항(雁行) 인명을 기록하였으며, 분량은 총 203면이다.
『사마방목』은 조선시대 전라도 광주 지역의 생원과 진사시 합격자 명부로, 향촌 사회의 동향에 관하여 알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