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903 |
---|---|
한자 | 全尙毅 |
영어공식명칭 | Jeon Sangui |
이칭/별칭 | 이민(而敏),희원(希元)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이바른 |
출생 시기/일시 | 1575년![]() |
---|---|
활동 시기/일시 | 1603년 - 전상의 무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627년 - 전상의 구성부사·좌영장 임명 |
몰년 시기/일시 | 1627년![]() |
추모 시기/일시 | 1627년 - 전상의 병조판서 추증(追贈) |
추모 시기/일시 | 1684년 - 전상의 정려(旌閭) |
부임|활동지 | 평안남도 안주시 |
묘소|단소 |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 산239번지
![]() |
사당|배향지 | 경렬사 -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 산176
![]() |
사당|배향지 | 편방사 - 광주광역시 |
사당|배향지 | 충민사 -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050[화암동 산133]![]() |
성격 | 무신 |
성별 | 남 |
본관 | 부안(扶安) |
대표 관직 | 구성부사(龜城府使) |
조선 시대 전라도 광주 출신의 무신.
전상의(全尙毅)[1575~1627]의 본관은 천안(天安), 자는 이민(而敏) 또는 희원(希元)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완(全琬), 할아버지는 참봉 전개(全漑)이다. 아버지는 승지(承旨)로 추증(追贈)된 전용(全蓉)이다. 부인은 풍천임씨(豊川任氏), 광산김씨(光山金氏)이다. 아들은 전백원(全伯元), 전중원(全仲元), 전계원(全季元)이다.
전상의는 1575년(선조 8) 전라도 광주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담략(膽略)이 있었으며, 1603년(선조 36) 무과에 급제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 구성부사(龜城府使)·좌영장(左營將)으로, 평안병사 남이흥(南以興), 안주목사 김준(金浚) 등과 함께 안주(安州)에서 방어하였다. 성이 함락되어 백상루(百祥樓)에 올라가 화살을 쏘며 끝까지 응전하였으나 화살이 떨어지고 힘이 다해 궁성을 향해 네 번 절하고 칼을 뽑아 스스로 자결하였다. 호인(胡人)들이 놀라며 “충신열사의 시신이니 다른 사람들과 섞이게 두어서는 안 된다”라며 시신을 누각 앞에 옮겨 매장하고 표를 세웠다. 이 사실이 조정에 전해져 예관을 보내 제사를 지내고 시신을 광주로 옮겨 무등산(無等山) 아래 평두산(平頭山)에 예장(禮葬)하였다.
전상의의 저술로는 1855년(철종 6) 후손 전수량(全守良) 등이 간행한 『구성공실기(龜城公實紀)』가 있다. 전상의의 유고와 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는데 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전상의의 묘소인 전상의장군예장석묘(全尙毅將軍禮葬石墓)는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 산239번지에 있으며,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3호로 지정되었다.
전상의는 1627년(인조 5)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증직(贈職)되었고, 1684년(숙종 10)에 정려(旌閭)되었다. 전상의는 평안도 안주(安州)의 충민사(忠愍祠), 광주의 경열사(景烈祠), 편방사(片坊祠) 등에 제향(祭享)되었다. 현재 전상의는 묘소 옆에 조성된 충민사(忠愍祠)[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050]에 배향(配享)되어 있다. 충민사에는 전상의의 영정과 위패가 봉안된 사당 및 유품인 갑옷, 투구, 활, 칼, 교지, 완문(完文), 완약(完約) 등이 전시된 유물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