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5354 |
---|---|
한자 | 本村洞陽池-風水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북구 본촌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경수 |
전구간 | 본촌동 양지마을 -
광주광역시 북구 본촌동
![]() |
---|---|
성격 | 풍수 |
광주광역시 북구 양산동 양지마을에 대한 풍수 해석.
양지마을은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마을로 형세가 뱀 모양을 닮았다고 전한다.
『한국지명총람』 양산동에 “양지(陽地)는 양산동에서 으뜸되는 마을로 양지쪽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양산동은 일곡동에서 서쪽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목젖처럼 출맥한 능선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양지마을은 북쪽 모가쟁이들, 남쪽 옥정들 가운데 언덕에 자리한 양지바른 동네이다.
양지마을은 조선 후기 석제면(石堤面)에 속하였으며, 하동정씨 집성촌으로 삼호정과 만석재가 있다. 지금 양산저수지가 양지(陽池)로 석제와 관련되어 있다.
동네에 세 풍수 형국론이 전하고 있다.
첫째, 뱀[巳走] 형국이라 전하며, 뱀 먹이인 개구리터로 조산(造山)터를 마련하고 숲을 조성하였다. 이 숲은 수구막이 역할도 함께 하였다. 현재 자라봉으로 양지마을회관과 정재요 처 밀성박씨 정려가 자리한다.
둘째, 연화부수(蓮花浮水) 형국으로 연꽃이 발을 담그고 물을 빨아올리는 못인 양산저수지가 있다. 양산동 288번지는 6만 6116㎡의 저수지로 현재 본촌근린공원[양산호수공원]으로 꾸며져 연꽃방죽을 볼 수 있다. 공원 하서로 동편에 담배인삼공사가 있다.
셋째, 옥정지골 안쪽 ‘서굴’에 노서하전(老鼠下田) 명당이 있었다고 전한다. 현재 양지초등학교와 1970년대 초 조성된 신양지마을 사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