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5230 |
---|---|
한자 | 假葬-處女-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광주광역시 북구 효령동 종방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염승연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18년 1월 30일 - 「가장살과 처녀 무덤」 광주광역시 북구 효령동 종방마을에 거주하는 기봉주의 이야기를 채록 |
---|---|
채록지 | 종방마을 -
광주광역시 북구 효령동
![]() |
성격 | 설화 |
모티프 유형 | 귀신|원혼|방지 |
광주광역시 효령동 종방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가장살과 처녀귀신에 관한 이야기.
「가장살과 처녀 무덤」은 효령동 종방마을에 있는 가장살에 관한 지명설화와 처녀귀신을 달래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이다.
2018년 1월 30일 광주광역시 북구 효령동 종방마을에 거주하는 주민 기봉주[남, 76세]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주관하는 한국구비문학대계(https://gubi.aks.ac.kr)에 수록되었다.
종방마을에 가장살이라는 곳이 있는데, 야산의 비탈길에 죽은 아이들을 묻은 곳이라 한다. 또한, 길 가운데에 죽은 처녀를 엎어서 묻기도 하는데, 이는 죽은 처녀를 달래면서 다른 사람들을 데리고 가지 말라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가장살과 처녀 무덤」의 주요 모티프는 '어린아이와 처녀귀신의 원혼으로 인한 해 방지'이다. 가장(假葬)은 어린아이의 시체를 묻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때문에 종방마을의 가장살이란 지명 또한 '가장'의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귀신은 세 가지 기준인 충족한 삶과 충족한 죽음, 소속감과 유대감의 분명함, 신원 증명의 가능성 중에서 한 가지 기준이 결여된 경우 원귀(冤鬼)라고 한다. 더욱이 사람들은 처녀와 아이와 같이 성년이 되지 못하고 사망한 미성년 귀신의 경우, 그 원한이 더욱 각별하다고 생각하였다. 때문에 처녀의 시신을 엎어서 길 가운데에 묻었다는 내용은 원귀가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