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4854 |
---|---|
한자 | 無等山歌 |
이칭/별칭 | 무등산곡(無等山曲)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
시대 | 고대/삼국 시대/백제 |
집필자 | 황민선 |
배경 지역 | 무등산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 |
---|---|
성격 | 가요 |
작가 | 미상 |
백제시대 때 전라도 광주 지역에 있는 무등산을 노래한 작자 미상의 가요.
「무등산가(無等山歌)」는 백제시대 때 가요로, 전라도 광주읍에 있는 무등산에 성을 쌓고 백성들이 안전하게 지내게 된 것을 즐거워하며 부른 노래이다. 작자와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무등산곡(無等山曲)」이라고도 하며, 「방등산가」, 「정읍」, 「선운산곡」, 「지리산가」 등과 함께 『고려사』 「악지(樂誌)」 「삼국속악(三國俗樂)」에 실려 있다. 가사는 전하지 않으나, 『고려사』 「악지」에 “무등산(無等山)은 광주(光州)의 진산(鎭山)이다. 광주는 전라도의 큰 읍인데, 무등산에 성을 쌓으니 백성들이 의지하여 안전하게 지내게 된 것을 즐거워하며 노래를 불렀다[무등산(無等山), 광주지진(光州之鎭). 주재전라(州在全羅), 위거읍(爲巨邑), 성차산(城此山), 민뢰이안(民賴以安), 악이가지(樂而歌之)].”는 설명이 전한다. 「무등산가」는 백제시대 때부터 고려시대까지 궁중에서 불렸다.
「무등산가」는 현재까지 전하는 무등산 관련 문학 작품의 문헌 기록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특이할 만한 점은 『고려사』 「악지」에 있는 백제시대 노래의 배경설화를 보면 대체로 남녀나 부부간의 정을 노래하는 내용인 데 반해 「무등산가」는 외적의 침략에 대비하여 무등산에 성을 쌓고 태평성대를 기뻐하는 백성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는 점이다.
「무등산가」는 무등산이 광주의 진산으로 삼국시대부터 기능하였다는 사실과 더불어 태평가로서 이 지역 백성들의 평화와 안녕을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