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제동과 새암」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507
한자 蓮堤洞-
이칭/별칭 연제동과 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연제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기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9년 - 「연제동과 새암」 광주광역시 북구 신용동에 거주했던 제보자 김진철(金鎭哲)의 이야기를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0년 - 「연제동과 새암」 『광주의 전설』에 수록
관련 지명 연제동 - 광주광역시 북구 연제동 지도보기
채록지 신용동 - 광주광역시 북구 신용동 지도보기
성격 설화|풍수설화
주요 등장 인물 중|부자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연제동의 풍수지리와 관련되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광주광역시 북구 연제동에 시주하러 온 중이 마을 사람들에게 물이 잘 나오는 곳을 알려 줘 샘을 파게 하였다. 사람들이 마을 중앙에 샘을 판 뒤로 마을이 쇠락하였다.

[채록/수집 상황]

광주광역시 북구 신용동에 거주하였던 제보자 김진철(金鎭哲)의 이야기를 채록하여, 1990년에 발행한 『광주의 전설』에 수록하였다.

[내용]

연제동은 연꽃 형국의 명당이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마을의 터는 풍수지리상 배 형국이며, 물을 구하기 힘들었다. 사람들은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가서 물을 길어다 마셨다. 하루는 마을에 중이 찾아왔다. 중은 마을에서 가장 부자(富者)인 집에 찾아갔다. 마을의 부자는 성격이 괴팍하였고, 시주 받으러 온 중을 박대하였다. 중이 마을 주변을 유심히 관찰하니 샘이 없었고, 사람들이 멀리까지 가서 물을 길어다 마시는 것을 알게 되었다. 중은 사람들에게 마을 중앙에 샘을 파면 물이 잘 나올 것이라고 알려 주었다. 마을 사람들은 샘을 팠고, 그곳에서 물이 나오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연제동은 풍수지리상 배 형국이어서, 마을 가운데에 구멍을 파면 가라앉게 되어 있었다. 연제동은 마을 사람들이 샘을 판 뒤로 점차 쇠락하게 되었고, 이후 30여 호만이 살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연제동과 새암」은 풍수설화이다. 마을의 부자가 이인(異人)을 알아보지 못하고 베푸는 것에 인색하여 벌을 받는다. 이와 같은 이야기는 다른 지역에서도 많이 발견된다. 한국의 대표적 광포전설(廣浦傳說)[돌부처상에 붉은 물감을 칠한 불경한 인물 때문에 해일이 일어나서 착한 노인 한 사람을 제외한 마을 사람들이 모두 목숨을 잃는다는 내용의 설화]인 ‘장자못 전설’은 부자의 인색한 욕망과 이인의 징치(懲治)가 결합된 이야기이다. 「연제동과 새암」은 장자못 전설이 변형된 풍수설화이다. 이야기는 사람들에게 베풀지 않고 자신의 욕망만 채우려면 벌을 받을 수 있다는 교훈적 주제를 전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