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578 |
---|---|
한자 | 生龍洞-遺蹟 |
영어공식명칭 | Saengyong-Dong Jinae Site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산 191-2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강은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7년 3월~11월 - 생용동 지내 유적 향토문화개발협의회 무등산 문화유적 지표조사단에서 지표조사 |
---|---|
현 소재지 | 생용동 지내 유적 -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산 191-2일대![]() |
성격 | 유적지 |
크기(높이,길이,둘레) | 120㎝[너비]|40~50㎝[깊이] |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지내마을 입구에서 확인된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우치공원 패밀리랜드 옆에는 대야저수지가 있고 오른쪽으로 지내마을이 있다. 유적은 지내마을로 들어가는 입구 구릉 사면에 있다.
생용동 지내 유적은 당시 광주직할시의 요청으로 1987년 3월부터 11월까지 이루어진 무등산 문화유적 지표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지내마을로 들어가는 입구는 새마을도로 확장으로 인해 구릉을 깎아 넓혔는데 그 깎은 부분에 너비 120㎝, 깊이 40~50㎝의 주거지 단면이 드러나 있다. 주거지 단면 중심 부위에는 탄화된 흙이 단단하게 결집되어 그 부근에서 기벽이 두꺼운 적갈색 붉은간토기편과 기벽이 얇은 황갈색 민무늬토기편이 촘촘히 박혀 있었다고 한다.
1987년 지표조사로 알려진 이후 유적 인근에서 조사가 이루어진 적이 없다. 현재 지내마을로 들어가는 입구 구릉으로 수목이 우거져 있다.
생용동 지내 유적은 광주광역시의 청동기시대의 주거지가 본격적으로 조사되기 이전에 지표조사로 보고된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인근 우치동 용강마을에서도 1973년 청동기 시대의 주거지가 보고된 바가 있어 당시 이 일대에 청동기시대 유적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