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학산사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541
한자 鶴山祠誌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민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975년 - 『학산사지』 편찬
간행 시기/일시 1975년연표보기 - 『학산사지』 간행
간행처 학산사 - 광주광역시 서구 불암길 82-100[서창동 1]지도보기
성격 사우지
편자 김종수
간행자 김종수

[정의]

김세근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에 있는 학산사의 사우지.

[개설]

학산사(鶴山祠)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 불암마을에 있는 사당으로, 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서 고경명(高敬命)과 함께 순절한 김세근(金世斤)[1550~1592]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학산사김세근의 충절을 배향할 목적으로 후손과 전라남도 광주시 지역 유림들이 1958년에 건립하였다. 주요 건물로는 학산사 본당과 경의당(景義堂), 학산사 묘정비(鶴山祠廟庭碑) 등이 있다.

『학산사지(鶴山祠誌)』는 배향 인물과 학산사에 관한 기록들을 정리하여 수록한 사우지(祠宇誌)이다.

[편찬/간행 경위]

『학산사지』의 서문과 발문에 김세근을 배향하게 된 과정과 김세근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후손 김종수(金鍾洙)를 중심으로 지역 유림들이 모여서 1975년에 간행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서지적 상황]

『학산사지』는 4권 1책의 석판본(石版本)으로 간행되었다.

[구성/내용]

『학산사지』는 1975년에 간행되었다. 서문은 김윤동(金潤東), 발문은 기세은(奇世殷)이 썼다. 4권으로 된 본문에는 배향 인물과 학산사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권 1에는 배향 인물인 김세근의 교유 관계, 관직 생활, 의병 활동, 임진왜란 참여 행적 등이 기록된 삽봉김공행상(揷峯金公行狀), 금산순절비(錦山殉節碑)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 2에는 전라남도 광주·나주·전주 지역 유림들이 작성한 통문(通文)과 향사 절차와 관련된 향사례홀(鄕射禮笏)이 실려 있다. 권 3에는 전라남도 광주 지역 유림이 설립한 창열단(彰烈壇)의 설립 과정과 의미가 기록된 창열단기(彰烈壇記), 각 지역의 유림들이 충절을 기리며 작성한 부(賦), 사우 운영에 도움을 준 모의계(慕義契) 활동 내용을 정리한 모의계서(慕義契序) 등이 실려 있다. 권 4권에는 유안(儒案), 모의계안(慕義契案), 제관록(祭官錄), 유사안(有司案)이 수록되어 있어서 학산사 운영과 행사에 참여한 사람들의 명단이 정리되어 있다. 대체로 이름, 자, 생년, 본관이 공통적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그중 모의계안에는 기부금을 함께 기록해 놓았다.

[의의와 평가]

『학산사지』학산사와 관계된 제반 사항들을 기록한 자료로서 광주광역시의 사우 건립 및 활동에 관해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