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동사원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528
한자 大東祠院誌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민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55년연표보기 - 『대동사원지』 간행
간행처 대동사 -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량신촌동길 47-8[동호동 587]지도보기
성격 사원지
편자 대동사
간행자 대동사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에 있는 대동사 관련 문서들을 모아 1955년에 간행된 사원지.

[개설]

대동사(大東祠)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에 있는 연안차씨(延安車氏)와 문화류씨(文化柳氏)의 사원(祠院)이다. 대동사는 1727년(영조 3) 류차달(柳車達)[류해(柳海)]의 유덕(遺德)을 추모하기 위해 황해도 연안군 구월산 아래 건립하고 제향해 왔다.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후, 1945년 광복 후 후손들과 유림들의 협력으로 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 칠봉산 앞에 옮겨 세워졌다.

신라 초에 차무일(車無一)이 시중(侍中)에 오르고 차씨(車氏) 성을 받게 되어 득성시조(得姓始祖)가 되었다. 통일신라 헌덕왕(憲德王) 때 차무일의 후손 차승색(車承穡)이 아들 차공숙(車恭叔)과 함께 헌덕왕을 암살하려다 누설되어 황해도 구월산으로 피신하여 류씨(柳氏)로 성을 바꾸고, 차승색은 류백(柳栢)으로 아들 차공숙은 류숙(柳淑)으로 개명하여 살았다.

왕건후백제를 공격할 때 가성류씨(假姓柳氏) 6대손인 류해가 군량 조달을 도운 공으로 공신에 봉해졌고, 본성이 차씨(車氏)라 차달(車達)이라는 호를 내렸다. 그리고 류해의 큰아들 류효전(柳孝全)은 군량미 헌납에 대한 공으로 연안군(延安君)에 봉해졌다. 그 뒤 옛성인 차씨를 되찾고 본적을 연안(延安)으로 하여 류효전[차효전(車孝全)]은 연안차씨 득관시조(得貫始祖)가 되었고, 류해의 둘째아들 류효금(柳孝金)은 류씨 성을 이어 받게 하여 문화류씨가 되었다. 이때부터 차무일의 후손은 차씨와 류씨로 나누어졌다. 이런 이유로 대동사에는 차효전과 류효금의 아버지인 류차달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류차달 외에 차효전, 류공권(柳公權), 류효금, 차포온(車蒲溫), 차원부(車原頫), 류자미(柳自湄), 류헌(柳軒) 등의 위패를 봉안하고 배향하고 있다.

『대동사원지(大東祠院誌)』대동사와 관계된 제반 사항들을 기록으로 남겨놓은 사원지(祠院誌)이다.

[편찬/간행 경위]

1945년 도유사(都有司) 정종원(鄭琮源), 장의(掌議) 박승주(朴升柱), 색장(色掌) 오영근(吳英根)의 이름으로 『대동사원지』 발간 통문을 보냈다. 이에 따라 1946년 최원식(崔元植)이 「대동사기(大東祠記)」를 쓰고, 그해에 대동사를 완공하였다. 『대동사원지』는 그 뒤 1955년에 간행되었다.

[서지적 상황]

『대동사원지』는 1책 석인본(石印本)으로 1955년에 대동사에서 간행하였다.

[구성/내용]

『대동사원지』는 도유사 정종원의 서문을 시작으로 사원지 목록, 범례, 원파록(源派錄), 간소임원록(刊所任員錄), 대동사지발(大東祠誌跋) 등의 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부록으로 「사우창건시물자담출명록(祠宇創建時物資擔出名錄)」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대동사원지』대동사와 관계된 제반 사항들을 기록한 자료로서 전라남도 광주 지역의 사원 건립 및 활동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호남한문고전연구실, 『호남지방지 기초목록』(전남대학교 출판부, 2014)
  • 호남지방문헌연구소-호남기록문화유산(http://www.honamculture.or.kr)
  • 연안차씨 종친회중앙회(http://cha.or.kr)
  • 문화류씨 대종회(http://moonhwaryu.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