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510
한자 觀音庵
영어공식명칭 Gwaneumam Hermitage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496[금곡동 산 848-5]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다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관음암 -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496[금곡동 산 848-5]지도보기
성격 사찰
창건자 성호
전화 062-266-0108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 송광사 소속 사찰.

[건립 경위 및 변천]

원효사(元曉寺) 바로 아래에 있는 관음암(觀音庵)은 본래 원효사에 속한 암자였으나, 1975년부터 승려 성호(性昊)에 의해 별개의 사찰로 운영되고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관음암의 주요 건물로는 대웅전과 극락보전, 요사채가 있다. 대웅전 주존불(主尊佛)은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중심으로 지장보살(地藏菩薩),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모시고 있다. 극락보전은 주존불을 건물 내에 모시지 않고 대웅전 왼쪽 자연 암반에 아미타불을 조각하여 모시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경내에 삼층석탑과 석등이 있는데, 1990년대에 조성되었다. 극락보전 왼쪽에는 자승당 단암선사(慈昇堂檀庵禪師)의 사리탑이 남아 있다.

[어사바우]

원효계곡을 가다보면 도로변에 병풍처럼 펼쳐진 바위가 있다. 널찍한 바위에 누가 언제 왔는지 글씨를 새겨 놓았는데, 다음과 같이 첫줄에 '암행어사(暗行御史)'라는 글이 새겨져 있어 어사바우[어사바위]라고 전한다.

암행어사민달용(暗行御史閔達鏞)

숭정기원후사(崇禎紀元後四)

정사초추과차(丁巳初秋過此)

자남평현감민영직(子南平縣監閔泳稷)

병자중추봉심(丙子仲秋奉審)

"암행어사 민달용이 1857년(철종 8) 초가을에 이곳을 지나갔다. 아들 남평현감 민영직이 1876년(고종 13년) 한가을에 찾아뵈었다."

목사민공영직영세불망(牧使閔公泳稷永世不忘)

담양군부자량지치무자구(潭陽郡父慈諒之治戊子九)

"목사 민영직을 영원토록 잊지 않겠다. 담양군을 아버지께서 진실로 어질게 다스렸다. 1888년(고종 25) 9월."

관찰사민정식추모(觀察使閔正植追慕)

광서신묘(光緖辛卯)

"관찰사 민정식을 추모함. 1891년(고종 26)."

무등산의 어사바우는 광주광역시에 있지만, 바위에 새겨진 글씨의 내용은 나주목부터 남평현까지 연관된다. '어사'라 하니 광주 한 곳만 관련된 것이 아니다. 기록을 통해 1857년(철종 8) 전라좌도 암행어사 순행을 알 수 있고, 서계별단(書啓別單)을 통하여 당시 전라도 20여 고을의 사회 사정과 향촌 사회를 알 수 있다. 경관 좋은 산길 암벽에 새겨진 암각문은 그저 단순한 인명 표기만이 아니라, 조선 후기 전라도의 역사를 읽어 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