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송암유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01
한자 松庵遺稿
영어공식명칭 Songamyugo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세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29년연표보기 - 『송암유고』 간행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시문집
저자 유평
간행자 유병로|유영보
권책 5권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2.5×16.2㎝[반곽(半郭)]
어미 내향삼엽화문어미(內向三葉花紋魚尾)
권수제 송암유고
판심제 송암유고

[정의]

조선 중기 전라도 광주 지역에서 출생한 문인 유평의 시문집.

[개설]

『송암유고』는 16세기 말 전라도 광주 지역에서 태어나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의병으로 활약한 문인 유평의 행적과 시문을 모아 엮은 문집이다.

[저자]

유평(柳平)[1577~1645]의 자는 화보(和甫), 호는 송암(松庵), 본관은 서산(瑞山)이다. 1577년(선조 10) 광주 창교리(滄橋里)[현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덕동]에서 부친 유경진(柳景進)과 모친 평택임씨(平澤林氏)의 아들로 태어났다. 설강(雪江) 유사(柳泗)가 조부이며, 금호(錦湖) 임형수(林亨秀)는 외조부이다. 1624년(인조 2)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향촌에서 학문에 정진하였다. 그러나 국난이 있을 때는 의리를 적극 실천하였다. 1624년(인조 2)에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전주로 피신한 인목대비에게 양곡을 보내는 한편 창의(倡義)를 도모하였고, 1627년(인조 5)에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양호호소사(兩湖號召使)였던 스승인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을 도와 의병 모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전주에서 세자를 호위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는 광주에서 정명익(鄭明翊)·정홍명(鄭弘溟)·이기발(李起浡)·양만용(梁曼容) 등과 의병을 이끌고 청주까지 진격하기도 하였다. 김장생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학문적으로 큰 기대를 받았으며, 스승과 사제의 정이 돈독하였다. 이후 참봉에 제수되기도 하였으나 나아가지 않고 고향에서 학문 연마와 강학으로 소일하다 1645년(인조 23) 6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편찬/간행 경위]

『송암유고』는 여러 후손들의 오랜 노력으로 간행되었다. 먼저 11세손 유병로(柳秉魯)가 유평의 유문을 수집한 뒤, 유병순(柳秉洵)과 함께 문집을 간행하자고 문중에 건의하였다. 이후 유영택(柳永澤)이 보관한 초고를 더하고, 유영보(柳永甫)의 조력을 얻어 1929년에 문집이 간행되었다.

[형태/서지]

『송암유고』 저본은 전남대학교도서관 소장본으로, 목활자본(木活字本)이다. 판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으로 반곽(半郭) 22.5×16.2㎝이며 계선이 있다. 반곽의 행자수는 10행 20자이고, 어미는 내향삼엽화문어미(內向三葉花紋魚尾)이다. 표제는 '송암집(松庵集)'이며, 권수제(卷首題)·판심제(版心題)는 '송암유고'이다.

[구성/내용]

『송암유고』는 전체 5권 1책으로, 권두 서문은 송증헌(宋曾憲)이 썼고, 권말에 양계묵(梁啓黙)과 유병로의 발문을 실었다. 권1에 시(詩) 199수, 권2에 격문(檄文) 2편, 상량문 1편, 서문 1편이 수록되어 있고, 부록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의 시 작품은 대체로 일상의 다양한 소회를 읊은 시들이다. 권2에 수록된 두 개의 격문 중 하나는 1636년 병자호란 때 광주의 절양루(折楊樓)에 모의청(募義廳)이 설치되었을 때 지은 것이고, 다른 하나는 1637년(인조 15) 전라북도 태인(泰仁)에서 지은 것이다. 첫 번째 격문에서는 국가의 위기 앞에 대의와 절의를 실천해 줄 것을 호소하고 있으며, 태인에서 지은 격문은 동요하는 군사들을 위해 군정의 안정을 위한 조치를 요청하는 내용이다.

[의의와 평가]

유평은 재야 유학자이면서도 양 호란 때 의병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인이기도 하다. 유평의 행적 및 학문적 저술과 시문을 담은 『송암유고』는 17세기 호란 발생 시기 호남 지역 의병 운동을 조명하는 데 중요한 문헌이다. 아울러 유평의 학문적 업적을 탐색하는 데도 의미 있는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도서관(http://lib.jnu.ac.kr)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 호남권한국학자료센터(http://hnkostma.org)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www.memoryhonam.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