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석문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698
한자 石門集
영어공식명칭 Seogmunjib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세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874년 - 『석문집』 간행 추정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시문집
저자 오이익
편자 오항규|오원규
간행자 오준선
권책 5권 2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2.5×15.2㎝[반곽(半郭)]
어미 상하내향화문어미(上下內向1葉花紋魚尾)
권수제 석문집
판심제 석문집

[정의]

조선 후기 광주권 문인들과 활발히 교유한 문신 오이익의 시문집.

[개설]

『석문집(石門集)』은 17세기 전라도 광주 지역 인근에서 거주하며 광주의 문인들과 문예적 교류가 활발했던 학자이자 문신인 오이익의 시와 문장류를 엮은 유고 문집이다.

[저자]

오이익(吳以翼)[1618~1666]의 자는 자서(子舒), 호는 석문(石門),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부친은 오희도(吳希道)이며, 모친은 김복흥(金復興)의 딸 순천김씨(順天金氏)이다. 1618년(광해군 10) 창평(昌平) 후산리(后山里)[현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산덕리]에서 태어나, 3세 때 계부(季父) 오희유(吳希有)의 양자가 되었다. 1652년(효종 3) 문과에 급제한 뒤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로 관료 생활을 시작하였다. 1657년(효종 8) 모친 봉양을 위해 외직을 청하여 함평현감(咸平縣監) 부임하여 나아가 선정을 베풀었다. 그러나 현감 재임 시에 형벌을 받은 자가 무고하여 전라도 초산(楚山)[현 전라북도 정읍시]으로 유배되었다. 1659년(효종 10)에 효종(孝宗)이 승하한 후 귀양이 풀려 고향으로 돌아온 뒤 더는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향촌에 서실을 지어 스스로 '석문거사(石門居士)'라 칭하고 성리학에 몰두하며 학문을 연마하며 여생을 보냈다. 1666년(현종 7) 4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편찬/간행 경위]

7대손 오항규(吳恒圭)가 가장(家藏) 초고를 바탕으로 유문을 수집해서 편집하고, 이경재(李景在)의 서문을 받았다. 이어 오원규(吳元圭)가 임헌회(任憲晦)에게 행장을 의뢰하고, 고시홍(高時鴻)에게 발문을 받아 문집 편집을 이어갔다. 이후 오항규의 아들인 오준선(吳駿善)이 부친의 뜻을 이어 1874년(고종 11) 나주(羅州)의 도림강당(道林講堂)에서 『석문집』을 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서지]

『석문집』 저본은 전남대학교도서관 소장본으로, 목활자본(木活字本)이다. 판식은 사주단변(四周單邊)으로 반곽(半郭) 22.5×15.2㎝이며 계선이 있다. 반곽의 행자수는 10행 20자이고, 어미는 상하내향일엽화문어미(上下內向一葉花紋魚尾)이다. 권두 서문의 제목은 '석문유고(石門遺稿)'이며, 표제·권수제(卷首題)·판심제(版心題) 모두 '석문집(石門集)'이다.

[구성/내용]

『석문집』은 전체 5권 2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권두 서문은 이경재(李景在)가 썼으며, 권말에 김병학(金炳學)·기정진(奇正鎭)·고시홍(高時鴻)·오준선 등의 발문이 있다. 시(詩) 514수가 권1~3에 수록되어 있고, 권3에 부(賦) 4편, 송(頌)·전(箋) 각 1편, 서(序) 2편, 동고록(同苦錄) 1편 등이 실려 있다. 권4에는 소(疏) 4편, 잡저 8편, 제문 5편, 묘지명 1편, 서(書) 8편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권5는 부록이다. 이 중에서 권2에 수록된 「감회시(感懷詩)」는 칠언절구의 10수로 이루어진 연작시로서, 초산 유배 시에 효종의 승하 소식을 듣고 지은 시이다. 시에는 군주를 잃은 애통함과 나라의 안위에 대한 염려가 드러나고 있다. 권4에 수록된 「시폐소(時弊疏)」는 새로 즉위하는 현종(顯宗)에게 호남 지역 조세 제도의 문제점과 대책을 제시한 상소문이다.

[의의와 평가]

『석문집』은 오이익의 문학 세계를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문헌이며, 17세기 호남 한문학의 형성과 전개 양상을 이해하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도서관(http://lib.jnu.ac.kr)
  • 한국고전종합DB(https://db.itkc.or.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www.memoryhonam.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