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767
한자 競技場
영어공식명칭 Gymnasium
분야 문화·교육/체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병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9년 - 공설운동장 건설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5년 - 광주종합경기장, 야구장, 구동실내체육관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7년 - 실내수영장, 테니스장, 씨름장, 연식 정구장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7년 - 염주종합체육관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2년 - 광주월드컵경기장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5년 - 남부대시립국제수영장,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진월국제테니스장, 광주국제양궁장 건립

[정의]

광주광역시 일대에 체육 활동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체육시설.

[개설]

1950년대까지만 해도 전라도 광주 지역에는 이렇다 할 경기장이 없어 1951년 광주시에서 처음 개최된 제32회 전국체육대회도 변변한 경기장 없이 광주서중학교[지금의 광주제일고등학교] 운동장을 주경기장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다가 1959년 공공 체육시설의 필요성에 따라 광주시 임동[지금의 북구 임동]에 토담으로 쌓아올린 공설운동장을 건설하였다. 1965년 제46회 전국체육대회를 계기로 공설운동장 터에 광주시 최초의 종합경기장인 광주종합경기장[지금의 무등경기장]과 야구장을 건립하였다. 광주공원 부지에는 서울 장충체육관에 이은 국내 두 번째 대형 실내체육관인 구동실내체육관[2008년 철거]을 건립하였다. 1977년 제58회 전국체육대회를 계기로 실내수영장, 테니스장, 씨름장, 연식 정구장 등을 신설하였다. 1987년 제68회 전국체육대회 때에는 염주종합체육관, 양궁장, 승마장을 신설하였다.

경기장 건설에는 막대한 재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국체육대회와 같은 큰 규모의 대회를 개최하면서 경기장 건설이 이루어졌다. 또한 국제 규모의 대회도 유치하였는데, 이를 위해 국제 수준의 경기장이 건설되었다. 2002월드컵을 위해 건설된 광주월드컵경기장, 2015년 광주 지역 최초의 국제 종합 대회인 2015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를 진행하기 위해 건설된 남부대시립국제수영장,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진월국제테니스장, 광주국제양궁장 등은 세계적인 수준의 경기장이다.

경기장은 대회 이후에도 광주 지역의 전문체육 선수의 훈련장과 생활체육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생활체육 장소로의 경기장은 체육 행사의 지원과 시민들의 체력 향상 및 체육 진흥 도모 등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특히 시민에게 열린 커뮤니티 공간인 '광주공유센터'를 통해서 연중 개방되고 있다.

[주요 경기장]

광주광역시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공공 체육시설은 1,076개, 체육시설업은 1,638개로 집계되었다. 이 중에서 광주광역시에서 광주광역시체육회광주광역시도시공사에 위탁 관리 중인 공공 체육시설은 총 33개소이다.

광주광역시체육회에서는 무등경기장 야구장, 광주월드컵경기장, 광주축구전용구장, 중흥정구장, 광주 관덕정[국궁장],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염주테니스장, 염주승마장, 염주종합체육관검도장, 전천후테니스장, 염주종합체육관, 광주축구센터, 빛고을국민체육센터, 수완인라인롤러경기장, 광주광역시체육회관, 광주국제양궁장, 광주광역시전천후게이트볼장, 첨단대상파크골프장, 동림다목적체육관, 진월국제테니스장, 보라매축구공원, 염주풋살장을 운영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장애인체육회에서는 염주파크골프장, 광주광역시장애인국민체육센터, 광주광역시 장애인직장운동경기부 탁구훈련장, 히딩크 드림필드 광주구장을 운영하고 있다.

그 밖에 광주광역시 동구청에서 운영하는 용산생활체육공원 정구장, 광주광역시도시공사에서 운영하는 염주실내수영장, 염주골프센터, 염주실내빙상장이 있다. 우암학원에서 남부대시립국제수영장, 송강학원에서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기아 타이거즈에서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를 각각 운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