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봄날」[영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718
영어공식명칭 A Spring Day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현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창작|발표 시기/일시 2018년연표보기 - 「봄날」[영화] 창작 발표
성격 단편 영화
양식 댄스 영화
작가(원작자) 한강
감독(연출자) 오재형
출연자 김수진|이선태|하이경|천현아|장진석
공연(상영) 시간 15분

[정의]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를 모티브로 하여 5.18민주화운동을 단편으로 다룬 댄스 영화.

[개설]

「봄날」[영화]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을 통하여 전라남도 광주의 아픔과 애도를 담은 작품이다.

[공연 상황]

「봄날」[영화]을 연출한 오재형 감독은 작품에 들어가기 전 출연자들에게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를 꼭 읽을 것을 요구하였다. 책을 중심으로 출연자들과 감정적인 공감대를 만들었고, 안무와 표현은 전적으로 출연자들의 해석으로 맡겼다. 제작 후반부에는 촬영본을 가지고 광주에 내려갔다. 화분, 나무, 담벼락, 빌딩 등 도시 곳곳을 스크린으로 삼아 영상을 투사하였다. 이 장면에는 여전히 그 자리에서 말없이 모든 것을 기억하고 있을 도시에 대한 애도와 고향에 대한 존경을 담았다.

[구성]

「봄날」[영화]은 현대무용가 4인과 수화통역사 1인이 몸짓과 손짓을 이용하여 5.18민주화운동을 표현하였다.

[내용]

「봄날」[영화]은 무용수들의 몸짓, 수화통역사의 손짓, 때로는 고요하게 멈추어 있고 때로는 빠르게 흐르는 전라남도 광주의 거리가 주인공이다. 「봄날」[영화]은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댄스 필름으로, 음악은 대한민국 전통음악인 국악을 베이스로 작곡되었다. 5.18민주화운동을 다시금 기억할 수 있는 새로운 통로가 영상과 음악으로 제시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5.18민주화운동은 끊임없이 소환되고 재현되어야 한다. 불의와 폭력에 의한 학살은 다시는 결코 일어나서는 안 된다. 그렇기 때문에 5.18민주화운동을 경험하지 않은 세대의 「봄날」[영화]과 같은 실험적인 작업은 정말 귀하다.

[참고문헌]
  • 광주 5.18 영화 댄스 필름 '봄날'(https://www.youtube.com/watch?v=K92h-O-c6Zs)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