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391
한자 傳統工藝文化學校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818[용전동 440-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다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2001년 3월 1일연표보기 - 전통공예문화학교 설립
최초 설립지 전통공예문화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818[용전동 440-4]
현 소재지 전통공예문화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818[용전동 440-4]지도보기
성격 문화교육 기관
전화 062-410-6615
홈페이지 광주광역시 북구 문화관광(https://bukgu.gwangju.kr/menu.es?mid=a70701010000)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용전동에 있는 전통 공예 교육 기관.

[설립 목적]

전통공예문화학교는 장인정신을 계승하여 문화 북구를 실현한다는 비전 아래, 전통공예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이를 보존 및 전승하여 공예기술의 저변확대와 공예산업 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전통공예문화학교는 2001년 3월 1일 개관하였다. 이후 교육과정를 꾸준히 개설하여 2021년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전통공예문화학교에서는 전통공예기술을 보존하고 전승하고, 광주 지역의 문화 상품을 개발하는 능력을 배양하여 신진 공예인을 육성하고, 전통공예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각 과목에는 도자기, 소목, 탱화, 민화, 천연염색이 있으며, 과목별 70% 이상 출석했을 경우 수료증을 수여하고 있다.

또한 남도향토음식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에서 졸업 작품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현황]

전통공예문화학교는 대지 352평, 연면적 225평 면적으로,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의 규모를 가지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지하 1층에 천연 염색 작업장, 지상 1층에는 사무실과 소목반, 지상 2층에는 도자기반, 탱화반, 천연염색반, 옥상에는 교육장과 가스가마실, 토련기실이 위치해 있다.

[의의와 평가]

광주전통공예문화학교는 전통 문화 자원을 계승·발전해 나갈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주민들의 문화 역량을 넓혀가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