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084
한자 松光綜合社會福祉館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로 17[우산동 1603-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소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1993년 7월 9일연표보기 - 송광종합사회복지관 개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6년 1월 18일 - 송광종합사회복지관, 2015년 사회복지 시설 평가 최우수 등급(A등급)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9년 7월 1일 - 송광종합사회복지관, 2018년 사회복지 시설 평가 최우수 등급(A등급) 선정
최초 설립지 송광종합사회복지관 - 광주직할시 광산구 우산동 1603-1
현 소재지 송광종합사회복지관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로 17[우산동 1603-1]지도보기
성격 복지 시설
면적 2,635.82㎡[건물면적]|881.03㎡[대지면적]
전화 062-941-8248
홈페이지 송광종합사회복지관(http://www.gjw.or.kr/songgwang)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에 있는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종합 사회복지 시설.

[개설]

송광종합사회복지관은 부처님의 자비와 구제 중생 이념을 바탕으로 불교계 인적·물적 자원을 개발·활용함으로써 지역 주민들의 복지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종합 복지 시설이다.

[건립 경위]

한 생명의 절대성과 창조성을 바탕으로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회복하며,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경제적 자립 기반을 형성하고, 문화·예술 활동을 통한 고급 문화의 접촉과 이해를 증진시키며, 지역 문제를 함께 생각하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함으로써 한 개인과 가족 그리고 지역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송광종합사회복지관은 1993년 7월 9일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로에 개관하여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 대상은 어린이와 장애인, 가족, 노인이다. 설립 초기에는 유아원이나 송광어린이집과 같이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주로 운영하다가, 점차 재가복지센터나 경로당과 같은 노인 대상 프로그램을 확장해 나가면서 현재와 같은 다양하고 광범위한 구성의 복지 서비스를 실행하고 있다.

[구성]

송광종합사회복지관는 대한불교조계종사회복지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다. 조직 인원은 관장, 부장, 과장[복지1과, 복지2과], 팀장[사례관리기능사업팀, 지역조직화사업팀], 사회복지사, 영양사, 전담사회복지사 등 총 17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6개 부설기관의 인원을 포함하면 총 50여 명에 이르고 있다. 부설 기관으로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송광정신재활센터, 가족폭력 상담을 위주로 하는 송광한가족상담센터, 노인들에게 상담 및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송광노인복지시설, 지역아동의 돌봄을 담당하고 있는 송광지역아동센터, 영유아의 보육과 누리과정을 제공하고 있는 송광어린이집이 있다. 부설 기관 중 특기할 만한 곳으로 길상원이 있다. 길상원은 그룹홈으로서 소년가장에게 주거를 제공하고 학업과 일상생활을 지원하고 있다.

[현황]

송광종합사회복지관에서 운영하는 사업은 사례관리 기능 사업[아동, 가족, 재가노인, 장애인의 사례관리]과 서비스 제공 기능 사업[급식이나 의료 서비스 등], 지역 조직화 기능 사업[욕구 조사 및 복지 사업]이 있다. 별도로 특화되어 있는 사업으로는 기탁 받은 식품을 송광종합사회복지관이 중간에서 연결점이 되어 이웃에게 전달하는 사업인 '송광푸드뱅크'가 있고,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와 야간 방임 아동 보호 사업,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 중인 저소득 주민을 대상으로 신체 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지역 주민들의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마을 공동체 프로그램인 '상상(相相) 마을 프로젝트' 등이 있다.

[참고문헌]
  • 송광종합사회복지관(http://www.gjw.or.kr/songgwang)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