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802
한자 地域自活-
영어공식명칭 Kwangju Self-support Center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경섭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자활 촉진에 필요한 자치구 단위의 자활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설치한 센터.

[개설]

2000년에 시행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생활이 어려운 사람의 사회·경제적인 자활, 자립을 지원하는 자활사업은 일자리 창출과 소득 증대, 지역·사회에 공익 서비스 제공, 사회공동체 실현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설치 및 구성]

광주광역시의 자활센터의 설치와 운영은 「광주광역시 자활사업 지원에 관한 조례」[시행 2019. 4. 15. 광주광역시 조례 제5201호, 2019. 4. 15. 제정]에 따른다. 조례에 따르면, '자활사업'이란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시행령」 제10조 제1항에 명시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뜻하며, '광역자활센터'란 법 제15조의 제3항에 따라 수급자 및 차상위자의 자활 촉진에 필요한 시 단위의 자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설치 또는 지정된 센터를 말한다.

광주광역시의 자활센터는 광역자활센터와 9개의 지역자활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2013년 4월 4일 보건복지부가 지정하고, 2013년 7월 12일 개소한 광역자활센터의 주요 역할은 지역 특화형 자활 프로그램 개발·보급 및 사업 개발 지원, 광역단위 자활사업단·자활기업의 창업 지원, 지역자활센터 종사자·참여자에 대한 교육 훈련 및 지원, 지역자활센터·자활기업에 대한 기술·경영 지도 등이다. 2021년 현재 운영 법인은 한국자활복지개발원이며, 종사자는 총 9명으로 센터장 1인, 사무국장 1인, 3개 팀에 7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자활센터는 조건부 수급자 규모와 자활센터 참여 수급자에 따라 표준형[동구, 서구, 서구상무, 북구일터]과 확대형[남구, 북구동신, 북구희망, 광산, 광산어등]으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다. 2021년 지역자활센터의 총 종사자 수는 98명이며, 수탁 기관은 주로 사회복지법인들이 맡고 있다. 동구지역자활센터는 노동실업광주센터, 서구지역자활센터는 사회복지법인 베데스다, 서구상무지역자활센터사회복지법인 인애동산, 남구지역자활센터사회복지법인 인애동산, 북구동신지역자활센터는 사회복지법인 동원, 북구일터지역자활센터는 광주지역건설산업노동조합, 북구희망지역자활센터는 아파트공동체센터, 광산지역자활센터는 대한불교조계종유지재단이 맡고 있으며, 주로 사회복지법인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광산어등지역자활센터광산구가 직접 운영하고 있다.

[활동 및 현황]

광주광역시는 근로 능력이 있는 수급자에게는 자활 사업을 통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자활 능력 배양, 기술 습득 지원 및 근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에게는 자활 사업 참여를 조건으로 생계비를 지급받도록 하여 국가 보호에 안주하는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는 장치도 마련하였다. 그리고 근로 능력에 따라 시장 진입형, 사회 서비스 일자리형, 인턴형, 근로 유지형 등의 맞춤형 자활 근로 사업에 참여하도록 하고 생계비를 지급하고 있다.

2019년 자활 사업의 유형별 참여 현황을 보면, 보건복지부의 자활 사업 중 자활 근로 유형에 1,949명, 자활기업에 213명, 고용노동부의 취업 성공 패키지에 1,330명이 참여하였다.

지역자활센터의 운영 목표는 자활 사업 참여자의 고용 안정 및 일자리 창출을 통해 참여 주민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것이며 사회 배려 계층이 빈곤으로부터 벗어나 사회적 통합을 구현하는 데 있다. 광주광역시에 9개소가 운영되고 있는 지역자활센터의 주요 역할은 자활근로사업단 운영 및 자활기업의 육성 지원, 근로 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의 자활 의욕 고취를 위한 교육, 자활을 위한 정보 제공 및 상담·직업 교육, 그리고 취업 알선, 창업 지원, 기술·경영 지도, 청년 자활 지원 등이다. 지역자활센터는 광역자활센터에 앞서 운영되기 시작하였으며, 대부분 2001년 보건복지부로부터 자활 후견 기관으로 지정된 기관들이 2007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어 운영되고 있다.

[광주광역시 지역자활센터]

광산지역자활센터(http://www.xn--hc0b358a44e6qq.com/jahwal_v2)

광산어등지역자활센터(https://www.gwangsan.go.kr)

남구지역자활센터(http://www.gngjahwal.or.kr)

동구지역자활센터(http://www.jahwal.org)

북구동신지역자활센터(http://gjw.or.kr/dsjahwal)

북구일터지역자활센터 (http://www.gjw.or.kr/ilter)

북구희망지역자활센터(https://hopejahwal.kr)

서구지역자활센터(http://www.gjw.or.kr/gwdoum)

서구상무지역자활센터(http://www.gjw.or.kr/gwdoum)

[참고문헌]
  • 『광주광역시 시정백서 2019』(광주광역시, 2020)
  • 「광주광역시 광역, 지역자활센터 현황」(광주광역시, 2021)
  • 광주광역자활센터(http://www.gjjahwal.or.kr/ko)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