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708
한자 慕聖契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인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40년연표보기 - 모성계 설립
개칭 시기/일시 1996년연표보기 - 모성계에서 모성회로 개칭
성격
설립자 정순환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유교 정신 함양을 위해 조직된 계.

[개설]

모성계는 1940년에 문묘 직원 정순환(鄭淳煥)의 주도로 광주 지역의 유교 정신을 함양하기 위해 결성되었고, 초기 계원 수는 650여 명이었다. 1996년에 증원되었고 명칭도 모성회로 전환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일제가) 광주향교의 석전대제(釋尊大祭) 비용인 특별 회계 항목을 없애고 재정 지출을 방해하자 사림(士林)들이 뜻을 모아 자금을 마련하였다. 구동의 향교에 전사각(典祀閣)을 짓고, 화정동에 논을 구입하여 제수 비용을 보조하면서 결성되었다.

계의 가입 희망자는 심사를 거쳐 모성계의 취지에 찬동한 자, 유교 정신이 투철한 자를 입계시키며, 계원 유고 시에 계원 자격은 계승할 의사가 있는 아들에게 상속한다. 입계 시에 개인별로 자원한 금액을 내고 문중별 출자도 있었다. 계의 자금은 회원 간의 친목을 위해 소액을 지출하고, 남은 금액은 은행에 예치하고 있다. 계원은 유교 정신 함양, 윤리 도덕 앙양(昂揚), 사회 정화 운동, 효열(孝烈) 및 선행자 표창과 패륜 행위자 교화(敎化), 광주향교 후원, 지방 문화 발전 등에 앞장서야 할 책임을 맡고 있다.

[설립 목적]

유교 정신을 함양하고 광주향교를 후원하기 위해 조직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창계 때의 규약은 유실되어 알 수 없고, 1973년의 규약에 따르면, 계 명칭, 목적, 모임 장소와 총칙, 계원의 자격, 현안 사업과 당면 과제, 임원 조직과 선출 방법, 회의, 재정, 부칙 순으로 작성되어 있다. 정기 총회는 향교에서 매년 4월 중 향교 제사와 중복되지 않는 날을 택하고 있다. 계원 50명 이상 출석과 대의원회 과반수 출석으로 성립되며 출석 과반수로 의결한다. 정기 총회 때는 1년간의 사업 및 회계 보고와 다음 해의 사업을 계획한다. 또한 계장, 부계장, 감사, 대의원을 선출하는데, 각 부장은 유림 대표로 계장 및 부계장이 상의하여 임명하며, 고문은 계장이 추대한다. 모성계원 중에는 한 달에 한 번씩 시 한 수를 지어서 읊고 토론하는 ‘무진음사(武珍吟社)’ 모임이 따로 결성·운영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