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59
한자 電力
영어공식명칭 Electric Power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광주광역시의 전기회로에 의해 단위 시간 동안 전기장치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 또는 단위 시간 동안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되는 전기에너지.

[개설]

전력은 모든 산업의 근간인 만큼 광주광역시에서는 주민의 일상생활, 공공시설 유지 및 농업 및 공업 등의 산업을 위하여 생산하고 있다.

[현황]

1977년 11월 한국전력주식회사 광주지점의 발전 설비는 3,120㎾로 전국 71만 1080㎾의 0.4%에 불과하다. 송전 설비는 784㎞로 전국 6,342㎞에 비해 비교적 비중이 높다. 다음으로 변전 설비는 573㎹A[메가볼트 암페어, Megavolt-ampere]로 전국 6,753㎹A의 8.4%이다. 배전 설비는 광주지점의 비중이 높은 편인데, 변압기는 전국의 9.3%, 용량은 6.2%, 배전은 15%나 된다. 마지막으로 통신 설비는 반송전화가 45대, 케이블 선로가 213㎞, 첨가 및 독권선로가 1,009㎞이며, VHF는 56대, M/W는 3대이다. 전체적으로 광주지점이 보유하고 있는 설비는 전국의 총 10% 내외이다. 발전 설비는 0.4%에 불과한데 이는 자연조건에 의한 것이라 보여진다. 1977년 당시 광주시 전력의 수용 상황을 살펴보면 일반용이 54.4%이고 산업용이 53%, 농사용이 1.4%, 가로등용이 0.2%로 나타났다.

한국전력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총 전력 사용량은 총 860만 3301㎿h[메가와트시, Megawatt-hour]이며, 가정용 203만 8973㎿h[23.7%], 공공용 57만 4012㎿h[6.7%], 서비스업 320만 7396㎿h[37.3%], 산업용 278만 2920㎿h[32.3%]로 나타난다. 산업용 중 농림수산업은 7만 4319㎿h[0.9%], 광업 1,781㎿h[0.0%], 제조업 270만 6820㎿h[31.5%]로 나타난다. 제조업종 중 전력 사용량이 가장 많은 3가지 업종은 영상 69만 7749㎿h[25.8%], 자동차산업 47만 8041㎿h[17.7%], 전자기기 23만 321㎿h[8.5%]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