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축산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40
한자 畜産業
영어공식명칭 Livestock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가축·가금을 사육하여 필요한 물질을 생산하고 그 생산물을 이용하는 산업.

[개설]

식료품으로는 젖, 고기, 알, 기름, 꿀 등이 있고, 의류나 그 밖의 생활필수품을 공급하는 것으로는 양모, 가죽, 뼈, 뿔, 우모, 약재 등이 있다.

[한우]

광주광역시의 한우 사육 두수는 1963년에는 2,134두였으나 1965년부터 1968년까지는 방매와 육류의 수요 증가에 따른 도축의 증가로 감소하였다. 그러다가 1969년 농림부의 특별사업 수입을 통해 1970년 1,998두의 실적을 달성한 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1979년 쇠고기 수입으로 한우 사육을 기피하게 되어 감소하였다. 1982년 한우 가격 폭등에 힘입어 다시 사육 농가가 늘어나기 시작하여 이후 꾸준한 성장을 보였고, 전국적으로 소값 하락과 쇠고기 수입 확대 등의 요인으로 잠깐의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1990년 이후 고품질 쇠고기의 생산 체제 등으로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여 1992년에는 1만 1419두로 증가하였다.

[육우]

1963년 65두에서 1966년에는 3.3배 증가한 215두를, 1968년에는 5.3배 증가한 342두를 사육하게 되었다. 또한 낙농진흥정책 등으로 1974년에는 전년보다 220두가 증가한 51두를 사육하였고, 1976년에는 1,067두를 사육하였다. 1980년에는 전년 대비 1,383두로, 7.3% 감소하였다. 1988년 광주직할시로 승격되고 행정구역이 개편되어 3만 5550두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수지에 맞는 축산 지도로 인하여 1989년 이후 점차 감소하고 있다.

[돼지]

1963년 돼지의 사육두수는 1만 1184두였지만 1963년~1964년에는 돼지고기 가격의 상대적 불합리로 인해 사육 규모가 축소되었다. 그 후로 소폭의 증감이 계속되었는데 1972년 국립종축장에서 미국으로부터 종수 12두를, 1974년에는 종돈 보급사업의 일환으로 미국으로부터 214두를 수입하였다. 이후 돼지의 대일 수출 증대와 쇠고기 공급 부족으로 돼지의 사육 의욕이 자극되어 1987년까지 사육 두수의 증감이 계속되었다. 1988년에 지역 확대로 1만 7196두로 약 2.2배 증가되었으나 이후에는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기타]

닭은 1963년 10만 3903수에서 사료 사정 악화로 1964년 약간 감소하였으나 1968년 정부의 지원 시책에 힘입어 22만 9951수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다 1974년 19만 9188수로 전년 대비 약 25%나 감소되었으나 1977년에는 닭고기 수요의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1.4배로 증가, 1979년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1988년 행정구역 개편 이후 1990년까지 74만 2563수로 증가되었지만 1992년까지는 3만 9319수로 감소되었다.

사슴은 1981년 4가구 40두에 불과하였으나 1988년 292두로 크게 증가하였다. 1992년 322두로 가구당 평균 약 19두를 사육하고 있었는데 한방에서 약재로 취급하면서 국민 GNP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인식이 달라짐으로써 사육 두수가 증가하고 있다. 산양은 1963년 1,931두를 사육하였으나 가축 수의 증가 및 사육 의욕 고취 요인이 없어 큰 변동 사항이 없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